
PPP 모형에 따른 '-아요/어요'에 대한 수업안 설계
본 내용은
"
한국어교원2급 외국어로서의한국어문법교육론 PPP 모형에 대해 설명하고 이에 따른 -아요/어요에 대한 수업안을 설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0
문서 내 토픽
-
1. PPP 모형PPP 모형은 '제시(Presentation) → 연습(Practice) → 생산(Production)'의 3단계로 구성되며, 언어 학습을 습관 형성의 과정으로 보고 교사가 학습 목표가 되는 언어 항목을 제시하면 학습자들이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강화하고 정확하게 인식하는 학습 활동이다. PPP 모형은 수업 설계가 쉽고 수업 목표가 분명하여 평가가 확실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언어를 분절된 단위로 나누어 교수하고 기계적인 연습에 치중한다는 단점이 있다.
-
2. -아요/어요-아요/어요는 동사나 형용사 뒤에 붙어서 말하는 사람의 생각이나 사실을 나타내는 문법 형태이다. 어간의 끝음절 모음에 따라 '-아요'와 '-어요'가 사용되며, '-하다' 동사와 '-이다' 앞에서는 각각 '-해요'와 '-이에요/-예요'로 쓰인다. 불규칙 활용도 있다.
-
1. PPP 모형PPP 모형은 언어 교육에서 널리 사용되는 교수법 중 하나입니다. PPP는 Presentation, Practice, Production의 약자로, 새로운 언어 항목을 먼저 제시하고 연습하며 최종적으로 실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적 접근법입니다. 이 모형은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학습 과정을 제공하여 학습자의 이해와 습득을 돕습니다. 또한 교사 주도의 수업 진행으로 학습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와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는 다소 제한적일 수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따라서 PPP 모형을 적절히 활용하되, 학습자 중심의 활동과 의사소통 중심 접근법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
2. -아요/어요-아요/어요는 한국어 문법에서 매우 중요한 종결 어미입니다. 이 어미는 주로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등에 사용되어 문장의 종결을 나타내며, 공손한 어투를 표현합니다. 또한 상대방에 대한 존중과 배려의 태도를 드러내는 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한국어 학습자들은 이 어미의 사용법을 정확히 익히고 상황에 맞게 적절히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문장 유형과 상황에서의 실습이 필요하며, 문화적 맥락에 대한 이해도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아요/어요 어미의 숙달은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
PPP 모형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고 초급 과정의 말하기 수업을 PPP 모형의 단계에 맞게 설계하시오. 5페이지
주제: PPP 모형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고 초급 과정의 말하기 수업을 PPP 모형의 단계에 맞게 설계하시오.1. PPP 모형PPP 수업 모형은 수업의 진행이 ‘제시→ 연습 → 발화’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Scott Thornbury(1999)는 이 수업 모형을 전형적인 영어 교수 방법으로 언급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PPP 수업 모형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은 테니스를 치는 방법이나 컴퓨터를 다루는 방법을 배우는 것과 같다. 그리하여 외국어 학습은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기술을 익힘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언어적 지식...2021.02.13· 5페이지 -
한국어교원2급 외국어로서의한국어표현교육론 PPP모형에 대한 특징 초급 과정의 말하기 수업을 PPP모형의 단계에 맞게 설계 6페이지
Ⅰ. 들어가는 말한국어 수업은 목표에 따라 여러 방법으로 교수·학습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언어 수업의 구성과 동일한 방식으로 ‘도입 → 제시 → 연습 → 활용 → 마무리’의 5단계로 구성된다. 이 수업 방식은 ‘제시(Presentation) → 연습(Practice) → 생산(Production)’의 PPP 모형을 5단계로 확대한 모형으로 한국어 교수·학습 현장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업 방식이다.구조주의 언어 이론과 심리학에 기초를 둔 PPP 수업모형은 언어학습을 일종의 습관 형성의 과정이라고 보고, 교사가 ‘제시’한 문형...2023.02.19·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