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별짓기, 유행에서 서브컬처로
본 내용은
"
구별짓기, 유행에서 서브컬처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0
문서 내 토픽
-
1. 포스트모던과 취향의 파편화한국의 문화 지형은 계급과 취향의 연결고리가 약하고, 대중문화의 위세 아래 상징질서가 약화되어 있다. 따라서 부르디외의 '구별짓기' 이론으로는 한국의 문화 지형을 설명하기 힘들다. 포스트모던 사회에서는 개인화가 진행되면서 구조적 요인이 취향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되어, 취향이 보다 개인화, 파편화되고 있다.
-
2. 유행의 약화10년대 이후 대중문화가 극적으로 분화하면서 더는 국민가요나 국민 드라마와 같은 '유행'이 성립하기 힘들어졌다. 이는 대중문화가 더 이상 '상상의 공동체'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3. 넷플릭스와 취향의 개인화넷플릭스의 빅데이터 기반 추천 알고리즘은 인구학적 요인과 무관하게 개인의 취향을 심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취향이 보다 개인적이고 파편화된 형태로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4. 서브컬처화하는 한국메인 컬처의 영향이 줄어들고 개인은 분화된 취향에 맞추어 문화를 소비하면서, 서로 다른 취향의 파편들이 난립하게 되는 현상을 '서브컬처화'로 정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징질서와 '구별짓기', 그리고 '유행'이 작동할 여지가 줄어들고 있다.
-
1. 포스트모던과 취향의 파편화포스트모던 시대에는 개인의 취향이 점점 더 다양해지고 파편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대중문화와 미디어의 발달, 그리고 개인의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의 다양화에 기인합니다. 과거에는 특정 장르나 스타일의 문화가 대중적으로 선호되었지만, 오늘날에는 개인의 취향이 매우 다양해져서 하나의 문화적 규범이 존재하기 어려워졌습니다. 이러한 취향의 파편화는 개인의 자유와 다양성을 증진시키지만,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공감대 형성을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취향의 다양성을 인정하면서도 공동체 의식을 유지할 수 있는 균형점을 찾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
2. 유행의 약화현대 사회에서 유행의 지속 기간이 점점 짧아지고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요인에 의한 것으로 보입니다. 첫째, 미디어와 정보 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트렌드와 스타일이 빠르게 전파되고 확산됩니다. 둘째, 개인의 취향이 다양해지면서 특정 유행에 대한 선호도가 낮아지고 있습니다. 셋째, 소비자들의 구매 행태가 변화하면서 기업들이 신속하게 대응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모두 있습니다. 긍정적인 면은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권이 확대되고 다양성이 증진된다는 것입니다. 부정적인 면은 지속 가능성이 낮아지고 자원 낭비가 증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유행의 약화에 따른 사회적 영향을 균형 있게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
3. 넷플릭스와 취향의 개인화넷플릭스와 같은 OTT 플랫폼은 개인의 취향과 선호도에 기반하여 콘텐츠를 추천하고 제공함으로써 취향의 개인화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선택권을 확대하고 다양성을 증진시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개인의 취향이 고립되고 편향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알고리즘에 의해 추천되는 콘텐츠가 개인의 기존 취향을 강화하여 새로운 경험과 시각을 접하기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러한 취향의 개인화가 사회적 소통과 공감대 형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의 취향을 존중하면서도 사회적 연대감을 유지할 수 있는 균형점을 찾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
4. 서브컬처화하는 한국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다양한 서브컬처가 등장하고 확산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이 다양해지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특정 대중문화가 주류를 이루었지만, 오늘날에는 개인의 관심사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하위문화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서브컬처의 확산은 개인의 자유와 다양성을 증진시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공감대 형성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따라서 서브컬처의 다양성을 인정하면서도 공동체 의식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습니다.
-
아비투스의 관점에서 바라본 오타쿠 문화 레포트 7페이지
사회학이론 보고서부르디외적 관점에서 본 일본 오타쿠 문화[ 목차 ]주제 선정 배경부르디외의 구성주의구조주의 이론아비투스(Havitus)와장(Field)이론의 적용 및 결론주제 선정 배경‘오타쿠’는 1970년대 일본을 중심으로 나타난 서브 컬처(하위문화)의 팬들을 총칭하는 말이다. 서브 컬처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 오타쿠 문화는 주류 문화와 대비되는 비주류 문화이기도 하다. 이들은 확실한 ‘취향’을 가지고 그것을 직설적으로 표현하고 적극적으로 향유한다는 행동의 특성을 보인다. 초기에는 애니메이션-SF 팬에 한정해 불리었지만 지금은 명...2014.12.10· 7페이지 -
오타쿠와 일본문화 24페이지
오타쿠로 본 일본문화 2003270878 임지혁 2003270888 김영민 2003270905 임수환오타쿠란 ? 오타쿠란 원래 일본어의 ‘ 당신 , 댁 ’ 을 뜻하단 이인칭명사이다 . 그러나 오타쿠란 말이 가타카나로 쓰이면 본래의 의미가 아닌 ‘ 이상한 것을 연구하는 사람이 라는 ’ 뜻이 된다 . ‘ 우타쿠 ’ 는 이미 국제어로 도 통용되고 있다 . 미국이나 유럽에서도 ‘OTAKU’ 란 말이 사용된다 . 보통 일본의 만화나 애니메이션 마니아를 지칭한다 .어원의 기원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작품의 초반 , 남자 주인공과 여자 주인공이 상...2009.10.13· 24페이지 -
[패션과 의상]스트리트패션(펑크), 현재패션 15페이지
1. 스트리트 패션의 정의스트리트 패션 : 거리의 유행 현상이 패션이 되는 경우.일반적으로 패션은 유명 디자이너들이 오트쿠튀르나 프레타포르테를 통하여 발표한 작품에서 발생되어 일반인에게까지 전파되므로 하이 패션, 톱 패션 등으로 불린다. 그러나 이런 것과는 상관없이 특히 청소년들 사이에서 자생적으로 생겨나는 패션이 그들 사이에 폭발적으로 유행하여 오히려 쿠튀르나 프레타포르테의 디자이너까지 이러한 유행을 수용하는 경우가 있다.이것은 보텀 업(bottom up) 현상으로 젊은이들 사이의 거리의 유행이 패션으로 전파되어 하이 패션에까지 ...2004.11.02· 1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