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동간호실습]A+받은 급성기관지염 간호진단3 간호과정1 브리핑노트
본 내용은
"
[아동간호실습]A+받은 급성기관지염 간호진단3 간호과정1 브리핑노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0
문서 내 토픽
-
1. 급성 기관지염급성 기관지염은 기관 및 기관지 점막의 염증으로 점액이 많아지는 질환으로 주로 소아에게 발생한다. 목을 통해 폐로 이어지는 기도, 기관에 바이러스, 세균 등의 병원균이 침입하여 급성 염증 반응이 발생한 상태를 의미한다. 급성 기관지염은 소아에서 흔하지만 독립된 질환이 아니라 다른 상하기도의 질환과 수반되어 나타난다. 흔히 기관을 침범하며, 세기관지염과는 다른 질환이다. 천식성 기관지염도 천식의 한 형태로 종종 급성 기관지염과 혼동되기도 한다. 급성 기관지염은 흔히 비인두염과 같은 상기도 감염 및 인플루엔자, 백일해, 홍역, 장티푸스, 디프테리아, 성홍열 감염과 함께 온다. 세균성 질환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에서 기인된다. 일부 소아는 급성 기관지염에 극히 민감한데, 아마도 알레르기, 기후, 대기 오염, 상기도의 만성 감염, 특히 부비동염 등이 관여 요인일 것이다.
-
1. 급성 기관지염급성 기관지염은 기관지의 염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기침, 가래, 호흡곤란, 흉통 등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세균 감염, 공기 오염, 흡연 등의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급성 기관지염은 대부분 자연 치유되지만, 증상이 심하거나 합병증이 발생할 경우 의사의 진찰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로는 충분한 휴식, 수분 섭취, 기침 억제제, 해열제 등의 대증 치료와 항생제 투여 등이 있습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손 씻기, 마스크 착용, 금연 등의 노력이 중요합니다. 급성 기관지염은 대부분 경미한 질환이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될 경우 전문의의 진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