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물리실험 선팽창계수 측정 실험 결과 보고서 [중앙대] A+
본 내용은
"
일반물리실험 선팽창계수 측정 실험 결과 보고서 [중앙대] A+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0
문서 내 토픽
-
1. 막대 온도 측정 오차막대를 가열할 때 증기를 이용하여 골고루 가열하고자 하였으나 장비 특성상 막대의 모든 부분을 같은 온도로 가열하기 어려웠다. 또한 온도 측정 부위가 막대의 가운데이기 때문에 위치에 따른 온도 차이로 인해 오차가 발생했다. 실험 중 증기발생기에서 물이 나와 시료 막대의 정확한 온도 측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
2. 실험실 온도에 따른 오차실험에서 참값으로 활용한 시료들의 선팽창계수는 실온을 기준으로 측정한 값이므로, 실험실 온도가 참값의 표준 실온과 차이가 있어 미미한 오차가 발생했을 것으로 본다.
-
3. 시료 막대 길이 측정 오차실험 중 막대가 정확하게 고정되지 않고 미세한 움직임이 지속적으로 발생했기 때문에, 다이얼 게이지로 길이 변화를 측정할 때 오차가 발생할 수 있었다.
-
1. 막대 온도 측정 오차막대 온도 측정 오차는 온도 센서의 정확도, 측정 방법, 주변 환경 요인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센서의 정확도를 높이고 측정 방법을 개선하며 주변 환경 요인을 최소화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반복 측정을 통해 오차를 줄이고 통계적 분석을 통해 오차 범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신뢰할 수 있는 온도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
2. 실험실 온도에 따른 오차실험실 온도는 실험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온도 변화에 따른 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 변화로 인해 측정 결과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험실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온도 변화에 따른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온도 센서 설치, 온도 조절 장치 사용, 실험 절차 표준화 등의 방법으로 실험실 온도 관리를 강화하고 온도 변화에 따른 오차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실험 결과의 신뢰성과 재현성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
3. 시료 막대 길이 측정 오차시료 막대 길이 측정 오차는 측정 도구의 정확도, 측정 방법, 시료의 특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밀한 측정 도구 사용, 반복 측정, 측정 방법 표준화 등의 노력으로 오차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또한 시료의 특성, 예를 들어 변형성, 균일성 등을 고려하여 오차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신뢰할 수 있는 시료 막대 길이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
(A+)중앙대학교 일반물리실험1 선팽창계수 측정 결과보고서 5페이지
오차 논의 및 검토 실험에 사용한 모든 고체 시료에서 오차가 발생하였다. 구리의 경우 11%의 오차율,철의 경우 약 15%의 오차율, 알루미늄의 경우 약 2%의 오차율을 가졌다. 모든 시료의 공통된 오차의 원인으로써 첫 번째로 온도계의 위치가 고체 시료의 정중앙에 있지만 스팀 발생기의 수증기가 한쪽 끝으로 들어가서 나가기 때문에 막대의 모든 부분에서 동일한 온도가 아니라 온도차가 발생하는데서 기인한다. 따라서 온도값이 구간마다 연속적으로 분포하지만 한 구간에서 고정된 온도값을 측정하여 계산하였기에 오차가 발생한 것이다. 두 번째로는...2023.03.26· 5페이지 -
중앙대학교 일반물리실험 (1) 선팽창계수 측정 결과보고서 (A+) 4페이지
[3] 오차 논의 및 검토1. 시료 막대가 휘어있는 경우수증기로 시료 막대를 가열하기 전 측정한 시료 막대의 길이는 선팽창계수 계산 공식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시료 막대가 휘어있었다면, 막대의 곡률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그에 따라 오차가 발생했을 것으로 생각한다. 2. 선팽창계수 측정 실험 영상의 8분 45초 즈음과 10분 25초 즈음에 시료 막대에 손이 닿고 나서 온도계에서 측정된 값이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처럼 손이나 다른 물체에 닿게 되어 온도가 변하게 되어 선팽창...2021.12.06·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