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기준의 종류와 특징
본 내용은
"
A+)[회계원리]기업이 회사의 자유재량에 의하여 임의적으로 회계보고서를 작성한다면 기업마다 회계보고서의 결과와 작성방법이 다를 수 있고 기간별로 다를 수 있어 회계정보의 신뢰성과 비교가능성이 저하된다. 강의에서 소개한 이외 다른 회계기준이 있다고 생각하는가? 있다면 어떤 회계기준이 어느 회계를 위한 회계기준인지 기술하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8
문서 내 토픽
  • 1.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국제회계기준(IFRS)은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재무제표 작성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소시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도 2011년부터 국제회계기준의 도입을 전면 의무화했다. K-IFRS는 원칙중심의 회계기준, 연결재무제표 작성, 공정가치 측정, 실현 전 손익 인식, 재무상태표 중심 재무제표 작성 등의 특징이 있다.
  • 2. 일반기업회계기준
    일반기업회계기준은 K-IFRS를 적용하지 않는 비상장 일반기업 및 외부감사대상법인을 위해 제정된 간략한 회계기준이다. 국제기준에 근접한 현행 회계기준 유지, 기업의 작성 부담 완화, 국제적 정합성 고려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코넥스 상장기업도 일반기업회계기준을 적용해야 한다.
  • 3. 중소기업회계기준
    중소기업회계기준은 외부감사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중소기업을 위한 회계기준이다. 일반기업회계기준과의 일관성을 기초로 하되, 중소기업의 현실에 맞게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제정되었다. 현금흐름표 작성 면제, 자본변동표와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중 한 가지만 작성 등의 특징이 있다.
  • 4. 비영리조직회계기준
    비영리조직회계기준은 비영리조직의 회계투명성을 제고하고 이해관계자가 유용한 재무정보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재무상태표, 운영성과표, 현금흐름표를 기본 재무제표로 하고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은 한국에서 상장기업들이 의무적으로 적용하는 회계기준입니다. K-IFRS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제정한 국제회계기준(IFRS)을 한국 환경에 맞게 채택한 것입니다. K-IFRS는 회계정보의 국제적 비교가능성을 높이고, 회계투명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업의 재무정보 이용자들에게 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만 K-IFRS 도입 과정에서 중소기업들의 부담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일반기업회계기준
    일반기업회계기준은 중소기업 및 비상장기업들이 적용하는 회계기준입니다. 이 기준은 K-IFRS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실무적이며, 중소기업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일반기업회계기준은 중소기업의 회계처리 부담을 완화하고, 재무정보의 이해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다만 일반기업회계기준과 K-IFRS 간의 차이로 인해 기업 간 재무정보 비교가능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중소기업의 부담을 줄이면서도 재무정보의 비교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중소기업회계기준
    중소기업회계기준은 중소기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제정된 회계기준입니다. 이 기준은 일반기업회계기준보다 더 간단하고 실무적이며, 중소기업의 회계처리 부담을 크게 완화하고 있습니다. 중소기업회계기준은 중소기업의 재무정보 작성 및 공시 부담을 낮추어 중소기업의 경영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다만 중소기업회계기준과 K-IFRS 간의 차이로 인해 기업 간 재무정보 비교가능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중소기업의 부담을 줄이면서도 재무정보의 비교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비영리조직회계기준
    비영리조직회계기준은 정부, 공공기관, 사회복지법인 등 비영리조직의 회계처리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기준은 비영리조직의 특성을 반영하여 제정되었으며, 비영리조직의 재무정보 작성 및 공시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비영리조직회계기준은 비영리조직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다만 비영리조직회계기준과 K-IFRS 간의 차이로 인해 비영리조직과 영리기업 간 재무정보 비교가능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비영리조직의 특성을 반영하면서도 재무정보의 비교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