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포터의 산업구조분석 이론을 적용한 스타벅스 분석
본 내용은
"
한 가지 산업을 선택하여, 이를 마이클 포터의 산업구조분석 이론의 다섯 가지 측면을 적용하여 분석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8
문서 내 토픽
  • 1. 기존의 경쟁사들 사이의 경쟁 정도(rivalry)
    현재 스타벅스 외에도 커피빈, 파스쿠찌, 할리스, 자바시티, 자바커피 백다방 메가커피 등의 커피전문점이 많지만, 아직도 스타벅스에는 사람들이 넘쳐날 정도로 스타벅스의 경쟁력이 가장 우수하다.
  • 2. 공급자들의 협상력 (bargaining power of suppliers)
    일반 매장에서 판매하는 컵커피, 캔커피는 동서식품이 독점하고 있고, 매일우유는 한국의 스타벅스 모든 매장과 컵/캔커피에 쓰이는 우유를 공급하고 있다. 또한 원두 역시 본사에서 중앙관리를 하기 때문에 공급자들의 강한 협상력이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해 국내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유명 커피 매장의 음료 가격이 미국 현지 매장보다 최고 60% 이상 비싼 편이다.
  • 3. 구매자들의 협상력 (bargaining power of buyers)
    현재 한국의 커피전문점 시장은 매년 성장하고 있고 군소업체들이 난립하여 치열한 경합을 벌이고 있지만, 시장선두기업으로서 스타벅스에 대한 소비자의 충성도는 매우 높은 편이다. 따라서 구매자들의 협상력은 매우 낮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경쟁사에게 이탈되는 고객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다.
  • 4. 잠재적 진입자의 위협 (threat of potential entrants)
    스타벅스의 약점인 환경문제, 과도한 미국풍에 대한 반감, 혼잡한 매장, 높은 가격 등을 강점으로 내세운 신규진입자들이 사업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특히 투썸플레이스, 커피빈, 프라우스타 등 고가의 가격정책과 마케팅을 앞세운 회사들과 이디야, 힐리야, 엔젤리너스 등 강점을 내세운 진입 경쟁업체들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5. 대체재의 위협 (threat of substitute products or service)
    웰빙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카페인, 고칼로리 음료로서의 커피보다는 0cal(제로 칼로리), 기능성 베버리지 등을 표방하며 나오는 트렌디 드링크가 커피전문점의 위협요소가 될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기존의 경쟁사들 사이의 경쟁 정도(rivalry)
    기존 경쟁사들 간의 경쟁 정도는 해당 산업의 성숙도, 제품 차별화 정도, 고정 비용 수준, 전환 비용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경쟁이 치열할수록 기업들은 가격 인하, 신제품 출시, 마케팅 강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경쟁에 대응해야 하므로, 이는 기업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경쟁 환경을 면밀히 분석하고, 차별화된 전략을 수립하여 경쟁 우위를 확보해야 합니다.
  • 2. 공급자들의 협상력 (bargaining power of suppliers)
    공급자들의 협상력은 공급자 시장의 집중도, 공급자가 제공하는 제품의 차별화 정도, 공급자와 구매자 간의 거래 의존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공급자의 협상력이 강할수록 구매자는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해야 하므로, 이는 구매자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공급자와의 관계를 관리하고, 대체 공급원을 확보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공급자의 협상력을 약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 3. 구매자들의 협상력 (bargaining power of buyers)
    구매자들의 협상력은 구매자 시장의 집중도, 구매자가 구매하는 제품의 중요성,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거래 의존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구매자의 협상력이 강할수록 기업은 더 낮은 가격을 제공해야 하므로, 이는 기업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구매자와의 관계를 관리하고, 차별화된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여 구매자의 협상력을 약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 4. 잠재적 진입자의 위협 (threat of potential entrants)
    잠재적 진입자의 위협은 해당 산업의 진입 장벽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진입 장벽이 낮을수록 새로운 기업의 진입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이는 기존 기업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자사의 핵심 역량을 강화하고, 차별화된 전략을 수립하여 진입 장벽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정부의 규제 정책 등 외부 요인에 대한 대응 방안도 마련해야 합니다.
  • 5. 대체재의 위협 (threat of substitute products or service)
    대체재의 위협은 해당 산업의 제품 차별화 정도, 구매자의 전환 비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대체재의 위협이 높을수록 기업은 가격 인하, 제품 혁신 등의 노력을 통해 경쟁력을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기업은 지속적으로 시장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여 차별화된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대체재의 위협에 대응해야 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