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정책론 과제(보편적복지vs선별적복지_안심소득을 중심으로)
본 내용은
"
사회복지정책론 과제(보편적복지vs선별적복지_안심소득을 중심으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7
문서 내 토픽
  • 1. 보편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
    보편적 복지는 국민 모두에게 공평하게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형평성이 높지만 효율성이 낮고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선별적 복지는 필요한 사람에게만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효율성이 높고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지만 형평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보편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에 대한 찬반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2. 안심소득제
    안심소득제는 일정 수준 이하의 소득을 가진 가구에 대해 소득 수준에 따라 지원금을 달리 지급하는 제도이다. 서울시에서 2022년부터 시범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며, 중위소득 85% 이하 800가구를 대상으로 중위소득 85% 대비 가구소득 부족분의 50%를 3년간 매월 지원할 계획이다. 안심소득제는 근로유인 효과와 소득격차 감소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3. 기본소득제와 안심소득제 비교
    기본소득제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며, 연 50만원~500만원을 지원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안심소득제는 중위소득 100% 이하 국민을 대상으로 하며, 기준소득 미달분의 50%를 지원한다. 기본소득제는 약 26조~300조 원의 예산이 필요하며 증세가 필요한 반면, 안심소득제는 53조 원의 예산이 필요하며 증세 없이 복지제도 재설계로 추진할 계획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보편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
    보편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는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보편적 복지는 모든 국민에게 동등한 혜택을 제공하여 형평성을 높일 수 있지만, 재정 부담이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선별적 복지는 자원이 한정된 상황에서 가장 도움이 필요한 계층에게 집중적으로 지원할 수 있지만, 복지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 가지 접근법을 적절히 조합하여 국민 모두의 기본적인 삶의 질을 보장하면서도 재정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 2. 안심소득제
    안심소득제는 기본소득제와 유사하지만, 대상자를 선별하여 지원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안심소득제는 저소득층에게 일정 수준의 소득을 보장함으로써 빈곤을 해소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근로 의욕을 저하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선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복지 사각지대 문제와 재정 부담 등의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안심소득제 도입 시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세부 정책 설계가 필요할 것입니다.
  • 3. 기본소득제와 안심소득제 비교
    기본소득제와 안심소득제는 모두 국민의 기본적인 삶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기본소득제는 모든 국민에게 동일한 금액을 지급하는 반면, 안심소득제는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선별적으로 지원합니다. 기본소득제는 보편성과 단순성의 장점이 있지만, 재정 부담이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안심소득제는 재정 부담을 줄일 수 있지만, 선별 과정에서 복지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두 제도 모두 장단점이 있으므로, 국가 재정 상황과 정책 목표에 따라 적절한 조합이 필요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