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사업을 로스만의 세 모형과 연계해 논하시오
본 내용은
"
도시재생사업을 로스만의 세 모형과 연계해 논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7
문서 내 토픽
  • 1. 도시재생사업
    도시재생은 기존의 도시가 가지고 있는 물리적 ·경제적·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든 행위를 일컫는다. 우리나라는 7~80년대 급격한 산업화 도시화가 이루어지면서 도시집중적인 성장이 일어났으며, 현재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에는 도시화 초기에 지어진 3~40년 이상 된 주택들이 상당히 낙후된 상황이다. 도시가 쇠퇴하는 이유는 도시 내 기업이나 산업활동이 줄어들면서 고용이나 소득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됨에 따라 인구가 줄어들어 주거환경이나 주택 등의 물리적 쇠퇴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재생사업은 반드시 필요하다.
  • 2.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에는 지역사회 개발 모델, 사회기획 모델, 사회행동 모델이 있다. 지역사회개발모델은 지역 주민들이 직접 힘을 합쳐 모여서 의논하고 합의점을 발견하면서 대안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사회기획모델은 정부 주도적으로 도시재생 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하는 방식이다. 사회행동 모델은 소외된 지역 주민들이 사회정의와 정치적 공평성의 입장에서 보다 나은 처우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을 말한다.
  • 3. 도시재생과 로스만의 모델 적용
    지역사회개발모델은 낙후된 지역에 재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요구가 정부기관에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주민들이 기관을 찾아가 의견을 전달하고 토론회나 설명회를 열어 주민의 의견을 반영하는 방식이다. 사회기획모델은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정책이 해당하며, 정부 주도적으로 낙후지역을 선별하여 대대적인 재건축과 도시재생을 실천하는 방식이다. 사회행동 모델은 지역 내 필요한 시설들이 도시재생 단계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강력하게 주장하는 것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도시재생사업
    도시재생사업은 도시의 낙후된 지역을 활성화하고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정책입니다. 이를 통해 도시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도시재생사업은 지역 주민의 참여와 협력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지역의 특성과 needs를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합니다. 또한 단기적인 성과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지자체, 지역 주민, 전문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 2.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은 지역사회 주민의 참여와 역량 강화를 강조하는 접근방식입니다. 이 모델은 지역사회 문제를 주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주민 간 협력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지역사회의 자생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기존의 전문가 중심의 하향식 접근에서 벗어나 주민 중심의 상향식 접근을 취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지역사회의 특성과 needs를 보다 잘 반영할 수 있으며, 지속가능한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 3. 도시재생과 로스만의 모델 적용
    도시재생사업과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은 상호 보완적인 접근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도시재생사업이 물리적 환경 개선과 경제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로스만의 모델은 지역사회 주민의 참여와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도시재생사업에 로스만의 모델을 접목한다면, 지역사회 주민의 needs를 보다 잘 반영하고 지속가능한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사회 주민, 지자체, 전문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협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또한 단기적인 성과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역사회의 역량 강화와 자생력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