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품매매기업의 회계처리 방법 및 세부내용 설명과 두 방법간의 장단점 비교
본 내용은
"
[ 상품매매기업의 회계처리 방법 및 세부내용을 설명하고, 두 방법간의 장단점을 비교, 설명하시오. ]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6
문서 내 토픽
-
1. 상품매매기업 회계의 특징상품매매기업의 경우 상품의 매입·매출에 관한 거래가 회계기간 중에 발생한다. 기업은 공급자로부터 상품을 매입할 때나 고객에게 상품을 판매할 때 현금 또는 신용으로 매입·판매를 한다. 상품을 판매하면 매출수익(revenue margins, 판매대금)이 획득되는데, 상품을 판매하면 상품이 유출되므로 매출원가(cost of goods sold)라는 비용이 발생하는데 매출원가는 판매된 상품의 매입원가(취득원가)이다. 따라서 매출수익과 매출원가의 차이는 상품매매 거래에 이익이 되고 이는 상품매매기업의 순익에 큰 영향을 미친다.
-
2. 계속기록법계속기록법(perpetual inventory system)은 상품의 매입과 매출이 있을 때마다 상품의 증감을 상품계정에 기록하고 매출수익과 매출원가를 기록하는 방법이다. 상품을 매입하면 상품이 증가하고 상품이 판매되면 매출원가가 발생하면서 상품이 감소하므로, 계속기록법은 개념적으로 타당한 기록방법이다. 매출수익을 기록하는 분개에서 대변 과목인 매출은 매출수익을 나타내는 계정과목이다. 상품계정의 차변 잔액이 바로 상품 재고액이다. 그러므로 계속기록법은 매출원가 측정이 물론이고, 재고관리를 용이하게 해주는 기록방법이다.
-
3. 실지재고조사법실지재고조사법(이하 실사법, periodic inventory system)은 재고자산의 매입·매출 시에 재고자산 증감을 기록하지 않고 매출원가도 기록하지 않고 기말시점까지 매출원가의 측정을 미룬다. 다만, 재고자산의 매입액은 매입 계정에 기록한다. 기말이 되면 재고량의 실지조사를 하여 기말재고액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회계 기간 전체의 매출원가를 일괄적으로 산정한다. 그리고 재고자산 계정을 기말재고액으로 수정하고 매출원가를 계정에 기록하기 위해 수정 분개한다.
-
4. 계속기록법과 실지재고조사법의 비교계속기록법과 실사법으로 분류할 수 있는 상품매매기업의 재고자산 회계의 핵심은 회계 기간의 매출원가와 기말 재고자산을 적절히 측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계속기록법을 사용할 때는 해당 계정에서 매출원가와 기말 재고자산을 동시에 알 수 있으나 실사법을 사용할 때는 재고 실사를 통해 기말 재고자산을 먼저 측정한 후, 이를 이용하여 매출원가를 측정해야 한다. 계속기록법을 사용할 경우 번거로움을 피하고자 매입 시에는 상품계정이 아닌 매입 계정으로 회계 처리를 하고 매출 시에는 매출만 인식하고 매출원가로 대체하는 회계 처리를 하지 않는다.
-
1. 상품매매기업 회계의 특징상품매매기업의 회계는 일반적인 제조기업의 회계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 상품매매기업은 제품을 직접 생산하지 않고 구매하여 판매하는 것이 주된 활동이므로 재고자산의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둘째, 상품매매기업은 매출원가 계산 시 매입원가와 기초재고액, 기말재고액을 고려해야 합니다. 셋째, 상품매매기업은 상품의 구매와 판매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거래를 회계처리해야 합니다. 넷째, 상품매매기업은 상품의 구매와 판매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비용을 관리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상품매매기업의 회계는 제조기업의 회계와는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합니다.
-
2. 계속기록법계속기록법은 재고자산의 관리 방법 중 하나로, 재고자산의 증감 내역을 지속적으로 기록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재고자산의 수량과 금액을 항상 파악할 수 있어 재고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재고자산의 실제 수량과 장부상 수량을 수시로 대사할 수 있어 오류 발생 가능성이 낮습니다. 다만 계속기록법은 실제 재고자산의 실물 확인이 필요하므로 정기적인 실지재고조사가 요구됩니다. 따라서 계속기록법은 재고자산 관리에 효과적이지만 실지재고조사법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3. 실지재고조사법실지재고조사법은 재고자산의 관리 방법 중 하나로, 일정 시점에 실제 재고자산의 수량을 직접 세어 장부상 수량과 대사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재고자산의 실제 수량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실지재고조사를 통해 장부상 수량과 실제 수량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어 재고자산 관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다만 실지재고조사법은 재고자산의 실물 확인이 필요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지재고조사법은 계속기록법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4. 계속기록법과 실지재고조사법의 비교계속기록법과 실지재고조사법은 재고자산 관리에 있어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계속기록법은 재고자산의 수량과 금액을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재고관리가 용이하지만, 실지재고조사가 필요합니다. 반면 실지재고조사법은 재고자산의 실제 수량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지만,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됩니다. 따라서 두 방법을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계속기록법을 통해 재고자산의 수량과 금액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정기적인 실지재고조사를 통해 장부상 수량과 실제 수량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를 통해 재고자산 관리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상품매매기업의 회계처리 방법 및 세부내용을 설명하고, 두 방법간의 장단점을 비교, 설명하시오. 5페이지
상품매매기업의 회계처리 방법 : 계속기록법과 실지재고조사법 0000.00.00 과 목 : 회계원리 담 당 교 수 : 성 명 : 회계원리 상품매매기업의 회계처리 방법 및 세부내용을 설명하고, 두 방법간의 장단점을 비교, 설명하시오. Ⅰ. 서론 Ⅱ. 본론 1. 계속기록법 (Perpetual Inventory System) 2. 실지재고조사법 (Periodic Inventory System) 3. 계속기록법과 실지재고조사법의 비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상기업이 상품 매매를 기록하는 방법에는 크게 계속기록법과 실지재고조사법이...2024.12.18· 5페이지 -
상품 매매 기업의 회계 처리 방법 및 세부내용을 설명하고, 두 방법 간의 장단점을 비교, 설명하시오 2페이지
상품 매매 기업의 회계 처리 방법 및 세부내용을 설명하고, 두 방법 간의 장단점을 비교, 설명하시오? 내용일반적으로 상품거래업체는 제조회사에서 완제품을 구매해 다양한 제품을 전시한 뒤 마케팅을 통해 판매하는 업체를 말한다. 따라서 하나의 제품이 아닌 여러 제품을 구매하고 구매할 때마다 구매 가격과 판매 가격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품거래회사의 수익구조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구매대상 상품의 구매가격과 판매가격, 구매대상 상품의 수량을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통상 상품거래업체는 상품 구매 당시 구매 단가와 수량을 곱한 구매계...2022.10.07· 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