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실습] GICU 흉막삼출 케이스 (A+)
본 내용은
"
[성인간호실습] GICU 흉막삼출 케이스 (A+)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6
문서 내 토픽
-
1. 흉막삼출흉막삼출 또는 습성 흉막염(pleural effusion, wet pleurisy)은 흉막액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상태로 대개 비농성이며 흉막강에 5L 정도의 흉막액이 고이기도 한다. 원인으로는 모세혈관 압력 증가, 모세혈관 교질삼투압 감소, 흉막 및 흉막강 염증, 림프계 기능 손상 등이 있다.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창백, 피로, 체중감소, 허약, 고열, 흉막 통증, 마른기침 등이 있다. 진단은 병력 청취, 신체검진, 흉막 생검 및 천자, X-선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치료는 원인 질환을 치료하고 흉막천자, 흉막강 내 약물 주입, 흉막유착술 등을 시행한다. 간호중재로는 호흡곤란 증상 관찰, 폐기능 검사, 동맥혈 가스 분석 등을 통한 치료 효과 사정이 필요하다.
-
2. 활동지속성 장애침습적 유지장치와 관련된 활동지속성 장애는 일상활동을 하는데 요구되거나 지속하는데 필요한 신체적 또는 정신적 에너지가 불충분한 상태를 의미한다. 관련요인으로는 침상안정, 앉아서 지내는 생활양식, 호흡기계 질환으로 인한 산소공급 장애 등이 있다. 간호중재로는 낙상위험도 및 욕창위험도 사정, 움직임 정도 사정, PCD와 산소공급장치 유지상태 관찰, 관절가동범위 운동 격려, 올바른 지식 교육 등이 필요하다.
-
3. 욕창위험성장시간 부동과 관련된 욕창위험성은 압력이나 마찰이 동반된 압력으로 인하여 통상적으로 융기된 뼈 밑의 조직이나 피부에 국소적으로 손상이 일어날 수 있는 취약한 상태를 의미한다. 관련요인으로는 기동성 감소, 탈수, 건조한 피부, 딱딱한 표면에서 장기간 부동 상태 등이 있다. 간호중재로는 욕창위험도 사정, 빈혈 및 혈청 알부민 모니터링, 체위변경, 피부 관리, 뼈 돌출 부위 보호 등이 필요하다.
-
1. 흉막삼출흉막삼출은 흉막강 내에 액체가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심부전, 암, 감염 등이 있습니다. 흉막삼출이 발생하면 호흡 곤란, 가슴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흉막천자, 흉막강 배액, 약물 치료 등이 있습니다. 흉막삼출의 원인을 찾아 근본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며, 증상 완화를 위한 보존적 치료도 병행해야 합니다. 또한 재발 방지를 위해 지속적인 관리와 추적 관찰이 필요합니다.
-
2. 활동지속성 장애활동지속성 장애는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인 활동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활동지속성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피로감, 집중력 저하, 동기 부족 등의 증상을 겪게 됩니다. 이로 인해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되며, 삶의 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활동지속성 장애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함께 개인의 특성과 상황에 맞는 맞춤형 치료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일상생활에서의 활동성을 높이고,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3. 욕창위험성욕창은 피부와 그 아래 조직이 지속적인 압박이나 마찰로 인해 손상되어 발생하는 상처를 말합니다. 욕창은 주로 움직임이 제한된 환자나 고령자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통증, 감염, 기능 저하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욕창 예방과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욕창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피부 관찰, 압박 부위 관리, 영양 섭취 개선, 운동 및 자세 변경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욕창이 발생한 경우 단계별 치료와 관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를 통해 욕창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