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명대학교 글쓰기 기초 발표자료 (심리적 편향) - 심리학과
본 내용은
"
계명대학교 글쓰기 기초 발표자료 (심리적 편향) - 심리학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4
문서 내 토픽
-
1. 신념편향신념편향은 하나의 논리적 명제를 그 결론의 신뢰성에 따라 편견을 가지고 판단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식물로 만들어진 것은 사람의 몸에 좋다'라는 명제에 대해 샐러드는 몸에 좋다고 생각하지만 담배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이 신념편향의 예입니다.
-
2. 확증편향확증편향은 자신의 주장이나 어떤 명제를 확실히 하기 위하여 편파적으로 자료를 찾고 해석하는 것을 말합니다. 자신의 가치관이나 선입견과 다른 정보는 배제하고 자기가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게 되는 것이 확증편향의 특징입니다.
-
3. 닻 내림 효과닻 내림 효과는 한 가지 프레임을 보고난 후 그 프레임이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제시된 기준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약간의 조정과정을 거치지만, 최초 기준점에 여전히 영향을 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명품매장에서 최고가의 물품을 진열하는 것은 닻 내림 효과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다른 물품이 저렴해 보이게 하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
4. 손실회피 성향손실회피 성향은 이득을 보는 가치보다는 잃게 되는 가치를 더 크게 평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길을 가다 만원을 주웠을 때의 행복감보다 그 만원을 잃었을 때의 상실감이 더 크게 느껴지는 것이 손실회피 성향의 특징입니다. 따라서 손실을 더 크게 평가하기 때문에 모험을 기피하게 되는 편향성이 생깁니다.
-
1. 신념편향신념편향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기존 신념이나 가치관에 따라 새로운 정보를 해석하고 판단하는 경향을 말합니다. 이는 객관적인 사실보다는 자신의 선입견에 의해 판단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신념편향은 우리의 의사결정과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우리는 자신의 신념에 부합하는 정보는 쉽게 받아들이지만, 그렇지 않은 정보는 거부하거나 무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편향된 사고로 이어져 합리적인 판단을 내리기 어렵게 만듭니다. 따라서 신념편향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선입견을 인정하고 객관적인 사실에 기반하여 판단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보다 균형잡힌 관점을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
-
2. 확증편향확증편향은 자신의 기존 신념이나 가설을 지지하는 정보에 더 주목하고 이를 선별적으로 수용하는 경향을 말합니다. 이는 자신의 신념을 강화하고 유지하려는 심리적 동기에 의해 발생하게 됩니다. 확증편향은 우리로 하여금 객관적인 정보를 무시하고 편향된 판단을 내리게 만듭니다. 이는 특히 중요한 의사결정 상황에서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확증편향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편향된 사고를 인정하고 다양한 관점과 정보를 균형있게 고려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자신의 신념을 지지하는 정보뿐만 아니라 반대되는 정보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검토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입니다.
-
3. 닻 내림 효과닻 내림 효과는 처음에 제시된 정보나 수치가 이후 판단이나 의사결정에 지나치게 큰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우리가 처음 접한 정보에 대해 지나치게 의존하게 되어 그 이후의 정보를 객관적으로 평가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닻 내림 효과는 우리의 의사결정 과정에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식 투자 시 초기 매수가격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합리적인 판단을 내리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닻 내림 효과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처음 접한 정보에 얽매이지 않고 이후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를 균형있게 고려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자신의 편향된 사고를 인정하고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판단하려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
4. 손실회피 성향손실회피 성향은 사람들이 이익보다 손실을 더 크게 느끼는 경향을 말합니다. 즉, 동일한 크기의 이익과 손실이 있을 때 손실을 더 크게 인식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는 우리가 손실을 회피하려는 심리적 동기가 강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손실회피 성향은 우리의 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예를 들어 투자 의사결정 시 손실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위험회피적인 선택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손실회피 성향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편향된 사고를 인정하고 객관적인 정보에 기반하여 판단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손실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합리적인 선택을 내릴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