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소요법과 간호(Nasal prong, simple mask, reserve mask, T-piece, venturi mask, HFNC, ventilator)
본 내용은
"
산소요법과 간호(Nasal prong, simple mask, reserve mask, T-piece, venturi mask, HFNC, ventilator)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4
문서 내 토픽
-
1. 산소요법산소요법은 저산소혈증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환자의 체내로 산소를 제공하는 치료입니다. 산소 적응증은 호흡곤란을 호소하거나 청색증이 있거나 SPO2 측정 시 target 이하인 경우이며, 필요 시 ABGA를 시행합니다. 산소 준비를 위해 Wall O2 or potable O2 tank, O2 잭과 bottle, 증류수가 필요하며 상황에 따라 N-P, S-M, R-M, ambu bag+O2 line을 사용합니다.
-
2. 저유량 산소요법저유량 산소요법에는 nasal prong, simple mask, reserve mask가 있습니다. nasal prong은 1-5L/min, 최대 6L/min, FiO2 24-44%로 저농도 산소 공급이 가능하고 활동이 자유로우나 코점막 손상 주의가 필요합니다. simple mask는 6-8L/min, Fio2 40-60%로 비폐색이나 응급상황에 유용하나 장기요법 시 비실용적이며 CO2 retention 주의가 필요합니다. reserve mask는 6-15L/min, Fio2 60-100%로 고농도 산소 공급이 가능하나 의사소통과 식사 시 불편감이 있어 단시간만 사용합니다.
-
3. 고유량 산소요법고유량 산소요법에는 T-piece, venturi mask, HFNC, ventilator가 있습니다. T-piece는 Flow와 Fio2 조절이 가능하고 습도 제공으로 객담 배출에 용이하며 ventilator weaning 시 적용 가능합니다. venturi mask는 일정한 FiO2를 공급하는 고유량 요법으로 COPD 환자에게 적용됩니다. HFNC는 FiO2 21-100%, O2 flow 10-60L/min, 온도 31-37도 조절이 가능한 고유량 산소요법으로 의식이 있거나 자발호흡이 있는 환자에게 적용됩니다.
-
4. 인공호흡기 모드인공호흡기 모드에는 CMV(continuous mandatory brathing), SIMV(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CPAP(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가 있습니다. CMV는 자발호흡이 없는 경우 적용되며 VCV(volume control ventilation)와 PVC(pressure control ventilation)가 있습니다. SIMV는 자발호흡이 어느 정도 있는 경우 적용되며 자발호흡만으로 부족한 환기량을 보조합니다. CPAP는 자발호흡에 PEEP을 더한 환기로 자발호흡 능력 증강 연습 시 적절합니다.
-
5. 인공호흡기 관련 약물인공호흡기 치료 시 필요한 약물에는 진정제(midazolam, dexmedetomidine, propofol, remifentanil)와 근육이완제(cisatracurium, vecuronium)가 있습니다. 진정제는 안위감 증진, 호흡작업량 감소, 환자-인공호흡기 조화를 위해 필요하며, 근육이완제는 자발호흡 억제를 위해 사용됩니다. 또한 통증 관리를 위해 morphine, remifentanil이 사용됩니다.
-
6. 인공호흡기 관련 합병증인공호흡기 치료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는 VAP(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SUD(stress ulcer disease), DVT(deep venous thrombosis)가 있습니다. VAP은 세균 감염으로 인한 폐렴이며, SUD는 스트레스로 인한 위산 분비 증가로 인한 위궤양, DVT는 지속적인 ABR로 인한 혈전 형성입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관리와 약물 투여가 필요합니다.
-
7. 네뷸라이저 치료네뷸라이저 치료는 에어로졸 약물을 직접 기관지와 폐에 전달하는 방법으로 적은 용량으로도 빠르고 정확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주요 약물로는 salbutamol, ipratropium, acetylcysteine, budesonide 등이 있으며 각각 기관지 확장, 점액 감소, 항염 효과를 나타냅니다. 네뷸라이저 사용 시 마스크 타입과 마우스피스 타입이 있으며 사용 후 세척이 필요합니다.
-
1. 산소요법산소요법은 호흡기 질환 환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치료법입니다. 산소 공급을 통해 혈액 내 산소 농도를 높여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을 개선하고 호흡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저유량 산소요법부터 고유량 산소요법까지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산소요법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잘 관찰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전문의의 처방에 따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산소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저유량 산소요법저유량 산소요법은 산소 농도가 낮은 산소를 공급하는 방법으로, 주로 비강 캐뉼라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편리하며, 환자의 활동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산소 농도가 낮아 중증 호흡기 질환 환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산소 농도와 유량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저유량 산소요법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예를 들어 코 자극, 건조 등을 잘 관찰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
3. 고유량 산소요법고유량 산소요법은 높은 농도의 산소를 공급하는 방법으로, 주로 고유량 비강 캐뉼라나 마스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 방법은 중증 호흡기 질환 환자에게 효과적일 수 있으며, 산소 농도와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고유량 산소요법은 기도 자극, 점막 건조, 코 출혈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또한 장기간 고유량 산소요법을 받는 경우 산소 독성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기적인 검사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
4. 인공호흡기 모드인공호흡기 모드는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보조 환기 모드, 강제 환기 모드, 압력 지원 모드 등이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평가하여 가장 적절한 인공호흡기 모드를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인공호흡기 모드 변경 시 환자의 반응을 잘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신속하게 조정해야 합니다. 인공호흡기 모드 선택과 관리는 환자 예후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의료진의 전문성과 경험이 필요합니다.
-
5. 인공호흡기 관련 약물인공호흡기 치료 시 다양한 약물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진정제, 근이완제, 승압제, 항생제 등이 대표적이며,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히 투여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인공호흡기 치료의 효과를 높이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작용 발생 가능성도 있으므로 약물 투여 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와 반응을 고려하여 적절한 약물 선택과 용량 조절을 해야 하며, 약물 부작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
6. 인공호흡기 관련 합병증인공호흡기 치료 시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폐렴, 기도 손상, 기흉, 심혈관계 합병증 등이 대표적이며, 이러한 합병증은 환자의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인공호흡기 관련 합병증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또한 합병증 발생 시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의료진의 전문성과 경험, 그리고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이 중요합니다.
-
7. 네뷸라이저 치료네뷸라이저 치료는 약물을 미세한 입자 형태로 분무하여 호흡기로 투여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약물이 직접 기도와 폐에 작용할 수 있어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 네뷸라이저 치료는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 치료에 널리 사용됩니다. 하지만 네뷸라이저 사용 시 기도 자극, 감염 위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 깊은 관찰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또한 약물 선택, 용량 조절, 기기 관리 등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요구되므로 의료진의 적절한 지도와 감독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