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학 간호 인계장
문서 내 토픽
-
1. 척추협착증환자는 2000년 9월 보강병원에서 우측하지통 적추협착증 시술 후 호전을 보였으나 4-5개월 전부터 통증이 지속되어 본원 외래를 통해 수술을 위해 입원하였습니다. 환자는 척추협착증과 척추간판탈출증을 진단받았으며, 수술 후 현재 상태는 오른쪽 다리의 저린감이 남아있는 상태입니다.
-
2. 수술 및 회복환자는 4월 12일 척추원반절제술을 받았으며, 수술 후 CVP catheter, Hemovac, PCA 등의 삽관 기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수술 후 4월 13일부터 ambulation을 시작하였고, 자가 배뇨도 가능한 상태입니다. 현재 감염성 심내막염과 잠재적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발견되어 2주 후 TFT 검사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
3. 약물 투여환자는 Mucosta, Relafen, 다이크로질정, 모티리톤정, 판테졸정, 위더스아테놀올정, 알피클로피아정, 알피바스타정 등의 약물을 투여받고 있습니다. 4월 15일 이후에는 약물 투여가 없을 것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
4. 간호 중재간호사는 환자의 활력징후, 배액량, 배뇨 상태 등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CVP dressing, 흡인분무기 교체 등의 간호 중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환자의 통증 관리를 위해 PCA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5. 과거력환자는 2018년 양측 인공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았으며, 2010년 6월 좌측 요골 골절로 개방정복 및 고정술을 받은 과거력이 있습니다.
-
1. 척추협착증척추협착증은 척추관 내부의 공간이 좁아져 신경이 압박되는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허리와 다리에 통증, 저림, 근력 약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척추협착증의 원인으로는 퇴행성 변화, 척추 골절, 종양 등이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의사의 진찰과 영상 검사가 필요하며, 증상의 정도와 원인에 따라 보존적 치료 또는 수술적 치료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보존적 치료로는 약물 치료, 물리 치료, 운동 요법 등이 있으며, 증상이 심하거나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척추협착증 치료에 있어서는 환자의 증상과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수술 및 회복척추협착증 수술은 증상이 심하거나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 고려될 수 있습니다. 수술 방법으로는 척추관 확장술, 추간판 제거술, 척추 융합술 등이 있습니다. 수술 후에는 통증 관리, 운동 요법, 물리 치료 등의 재활 치료가 필요합니다. 회복 기간은 개인차가 크지만 대체로 3-6개월 정도가 소요됩니다. 수술 후에는 통증 감소, 기능 향상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합병증 발생 가능성도 있으므로 수술 전후 관리가 중요합니다. 환자의 상태와 수술 방법에 따라 회복 과정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의사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최선의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약물 투여척추협착증 치료에 있어 약물 투여는 보존적 치료의 한 부분으로 활용됩니다. 주로 통증 완화와 염증 감소를 위해 사용되며, 대표적인 약물로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근육 이완제, 신경병성 통증 치료제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장기 복용 시 위장관 출혈, 신장 손상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치의의 처방에 따라 적절히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약물 치료와 더불어 운동 요법, 물리 치료 등의 병행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약물 투여 시 환자의 상태와 반응을 면밀히 관찰하여 최적의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4. 간호 중재척추협착증 환자의 간호 중재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포함됩니다. 첫째, 통증 관리를 위해 진통제 투여, 온열 요법, 마사지 등의 방법을 활용합니다. 둘째, 기능 회복을 위해 물리 치료사와 협력하여 운동 요법을 시행합니다. 셋째, 일상생활 동작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해 작업 치료사와 함께 작업 요법을 진행합니다. 넷째, 심리적 지지를 위해 환자와 가족에게 교육과 상담을 제공합니다. 다섯째, 합병증 예방을 위해 욕창, 심부정맥 혈전증 등의 관리에 힘씁니다. 이와 같은 다양한 간호 중재를 통해 척추협착증 환자의 증상 완화, 기능 회복,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5. 과거력척추협착증 환자의 과거력은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 계획 수립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환자의 과거력에는 척추 관련 질환 및 수술, 외상, 기저 질환, 약물 복용력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의사는 척추협착증의 원인을 파악하고,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과거력을 통해 치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위험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는 자신의 과거력을 정확히 기억하고 의사에게 상세히 알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의사와 환자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최적의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성인간호학 간호 인계장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2
-
(A+자료) [성인간호학] SBAR 활용한 인수인계 면담지 십이지장 궤양 5페이지
성인간호학2SBAR 활용한 인수인계 면담지제목 : SBAR 활용한 인수인계 면담지제출일 :제출자명 :담당과목명 :담당교수명 :쪽번호 기록 :사례 요약······················································1환자 소개······················································1임상검사 소견················································1지침············································...2022.06.11· 5페이지 -
[A+] 성인간호학실습 인수인계 및 학습내용 11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실습일지실습일지 (1일차)일시인계내용학습내용01/17이ㅇㅇ님 40세 남성 Acute pyelonephritis 진단받으신 분 인계 드리겠습니다. 2022년 1월 9일에 fever를 주호소로 ER 통해 내원하셨습니다. 좌측 흉수를 동반한 폐렴으로 LMC 입원해서 치료받다가 호전되어 퇴원예정이다가 fever 지속되었고 leukocytosis와 CRP 증가 양상으로 추가치료위해 전원 후 집중치료위해 SICU 입실하셨습니다. Felty’s syndrome, iron deficiency anemia, Autoimmune hepa...2022.11.14· 11페이지 -
성인간호학 / 종합실습 / 화상 / Brun case / 간호진단 2개 / 인수인계 보고서 / CP 2개 29페이지
Burn 화상과목명기관기 간지도교수학과학번이름제출일목차Ⅰ. 서 론 --------------------------------------------------------------- P1~9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P12. 관계 문헌의 개요 ---------------------------------------------------- P1~9Ⅱ. 본 론 --------------------------------------------------...2024.09.06· 29페이지 -
교수님 피드백까지 적용한 a+받은 수혈환자간호 알고리즘과 인수인계 3페이지
성인간호학 알고리즘 및 인수인계시간환자 상태 및 조작내용수행 내용5-10minInitial state:음성: 환자는 명료하고 지남력이 있다‘내 이름은 김○○이고 엉덩이뼈가 부러져서 병원에 있어요’‘의사가 오늘 내가 수혈이 필요하다고 말했어요’단서: 환자‘저에게 또 다른 주사를 놓으실 건가요? 아니면 이미 맞고 있는 팔에 수혈할 건가요?’BP: 101/68HR: 100RR: 18BT: 36.8SpO2: 95%- 간호사실에서 혈액은행에서 수령해온 혈액을 의료인 2명이 직접 확인하고 서명한다. 혈액원스티커와 후면의 본원 혈액 부착 스티커...2020.07.09· 3페이지 -
간호학과]성인간호학]목차참고서술형과제 8페이지
목차1]염증과 면역반응1. 과민반응의 유형을 표로 그려 작성하시오.2. Anaphylaxis의 응급 호흡관리에 대해 기술하시오.3.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환자의 감염예방을 위한 간호중재를 작성하시오.4.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의 임상증상(급성감염기, 만성감염기)을 기술하시오.2]감염1. 공기, 비말, 접촉 감염관리 지침을 작성하시오.2. Antibiotic-Resistant organism과 항생제 내성 억제를 위한 수칙(Box 3-1)을 기술하시오.3...2022.06.27· 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