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장행동사례와 반응, 비평에 대한 주장행동, 주장행동이 필요한 상황과 삼가할 사항
본 내용은
"
주장행동사례와 반응, 비평에 대한 주장행동, 주장행동이 필요한 상황과 삼가할 사항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2
문서 내 토픽
-
1. 주장행동의 사례간호사가 환자에게 교육을 실시했는데, 환자가 간호사에게는 묻지 않고 의사에게 질문한 경우, 공격적인 행동을 보인 환자 보호자, 새로 입원한 환자 보호자의 요구, 의사가 간호사에게 채혈을 요구한 경우, 수간호사가 간호사의 실수를 추궁한 경우 등 다양한 주장행동 사례가 제시되었다.
-
2. 비평에 대한 주장행동비평을 수용하지 않고 충돌을 피하거나 자신을 정당화하려 하며, 비평자의 결점을 지적하는 등 다양한 대처 양상이 나타났다. 정보를 구하거나 사실이나 원칙에 동의, 재진술하기 등의 건설적인 대처 방법도 제시되었다.
-
3. 주장행동이 필요한 상황분노, 불만, 애정 등의 감정이 해소되지 않거나, 상대방에게 솔직하게 말하지 못하고 돌려서 말하는 등의 상황에서 주장행동이 필요하다고 설명되었다.
-
4. 주장행동을 삼가야 할 상황주장행동의 위험이 크거나 얻는 것이 별로 없을 것 같은 경우, 상대방이 개인적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매우 예민한 경우, 자신이 극도로 감정이 상해 있어 상대방을 공격할 것 같은 경우 등에는 주장행동을 삼가는 것이 좋다고 설명되었다.
-
5. 주장행동을 위한 핵심 포인트자신감과 긍정적인 자아상 확립, 감정 인식, 인사와 대화 시작, 의견 표현, 경청, 칭찬, 거절에 대한 두려움 극복, 비언어적 행위 연습, 타당한 비평 수용 등이 주장행동을 위한 핵심 포인트로 제시되었다.
-
1. 주장행동의 사례주장행동은 자신의 권리와 이익을 적극적으로 주장하는 행동을 말합니다. 이는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표현하고 상대방과 협상하여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장행동의 사례로는 직장에서 부당한 대우에 대해 상사에게 항의하거나, 소비자로서 불량 제품에 대해 판매처에 환불을 요구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주장행동은 자신의 권리를 지키고 공정한 대우를 받기 위해 필요한 행동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2. 비평에 대한 주장행동비평에 대한 주장행동은 자신에 대한 부당한 비판이나 비난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설명하고 상대방의 비판이 타당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합리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성과 평가에서 부당한 평가를 받은 경우 상사에게 이의를 제기하거나, 온라인상에서 자신에 대한 허위 사실이 유포되었을 때 이를 바로잡기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 등이 주장행동의 사례가 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고 공정한 대우를 받을 수 있습니다.
-
3. 주장행동이 필요한 상황주장행동이 필요한 상황은 자신의 권리나 이익이 침해되거나 부당한 대우를 받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직장에서 상사의 부당한 지시나 차별적 대우를 받는 경우, 소비자로서 불량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보상을 요구해야 하는 경우, 개인정보 침해나 명예훼손 등의 피해를 당한 경우 등이 주장행동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표현하고 상대방과 협상하여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장행동을 통해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고 공정한 대우를 받을 수 있습니다.
-
4. 주장행동을 삼가야 할 상황주장행동을 삼가야 할 상황은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하고 상호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하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가족이나 친구 간의 갈등 상황, 상대방의 감정이나 상황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중요한 경우 등에는 주장행동을 자제하고 대화와 타협을 통해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한 상대방의 권리나 이익을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 자신의 입장을 표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상호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한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
5. 주장행동을 위한 핵심 포인트주장행동을 위한 핵심 포인트는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표현하고,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며, 합리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입니다. 첫째,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권리와 이익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둘째,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상황과 동기를 파악하고, 공감하는 태도를 가져야 합니다. 셋째, 합리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상호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협상을 진행하고, 상호 만족할 수 있는 대안을 찾아야 합니다. 이러한 핵심 포인트를 바탕으로 주장행동을 실천한다면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고 공정한 대우를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