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제 범죄를 저지르지 않은 사람의 변호 방안: 오 기억과 인간 기억의 취약성을 중심으로
본 내용은
"
실제 범죄를 저지르지 않은 사람이 여러분들에게 변호를 의뢰하였습니다. 유일한 증거는 목격자의 기억입니다. 여러분들이 변호사라면 이 사람을 어떻게 변호할 수 있는지에 대해 예를 들어 자세히 기술하세요.(오 기억의 특징과 발생원인 & 기억의 취약성 & 사례,실험 등 중심으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1
문서 내 토픽
-
1. 오 기억의 특징과 발생원인오 기억은 특정 인물이 실제로 발생한 적이 없었던 사건을 일어난 것으로 기억하거나, 정보의 출처를 혼돈하며, 상상 속에서의 일이 현실에서 발생한 것으로 착각하는 등의 인지 오류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오 기억은 일시성, 차단, 방심, 오 귀인, 피 암시성, 편견, 집착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시간 지연으로 인한 망각, 단기기억 능력 저하, 암시, 지식과 신념의 괴리, 집착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
2. 인간 기억의 취약성인간의 기억은 완전하지 않으며 왜곡과 망각에 특정한 경향성이 존재한다. 이를 증명하는 대표적인 실험으로 '보이지 않는 고릴라 실험'이 있다. 이 실험에서 피실험자들은 영상 속에 등장한 고릴라를 대부분 발견하지 못했는데, 이는 인간 기억의 불완전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3. 오 기억과 인간 기억의 취약성을 활용한 변론 전략변호사는 클라이언트의 누명을 벗기기 위해 오 기억의 보편성과 인간 기억의 취약성을 강조해야 한다. 먼저 오 기억의 특징과 발생 원인을 설명하여 증인의 증언이 오 기억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음을 주장한다. 그리고 '보이지 않는 고릴라 실험' 등 인간 기억의 취약성을 입증하는 사례와 실험을 제시하여 증인의 증언 신뢰성을 낮추는 변론 전략을 펼친다.
-
1. 오 기억의 특징과 발생원인오 기억은 실제 사건이나 경험과 다르게 기억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기억의 구조와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나타나는데, 대표적으로 선택적 주의, 기억의 재구성, 암시와 오해 등이 있습니다. 선택적 주의는 특정 정보에 집중하면서 다른 정보를 간과하게 되어 오 기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억의 재구성은 기억을 인출할 때 기존 정보에 새로운 정보가 덧붙여지면서 원래의 기억이 변형되는 현상입니다. 또한 외부의 암시나 오해로 인해 기억이 왜곡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오 기억의 발생 원인은 기억의 가변성과 불완전성에 기인하며, 이는 인간 기억의 근본적인 특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인간 기억의 취약성인간 기억은 본질적으로 취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 기억은 선택적이고 부분적이어서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저장하지 못합니다. 둘째, 기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되고 왜곡될 수 있습니다. 셋째, 기억은 상황과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넷째, 기억은 감정이나 동기 등의 영향을 받습니다. 이러한 기억의 취약성은 오 기억이나 거짓 기억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간 기억의 한계를 인정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기록, 검증, 교차 확인 등의 방법을 통해 기억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3. 오 기억과 인간 기억의 취약성을 활용한 변론 전략오 기억과 인간 기억의 취약성은 변론 전략에서 중요한 요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첫째, 증인의 진술에 오 기억이 개입되었음을 입증하여 그 진술의 신뢰성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둘째, 피고인의 진술에 오 기억이 개입되었음을 주장하여 유죄를 입증하기 어렵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셋째, 피고인의 기억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되었음을 보여 합리적 의심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넷째, 피고인의 기억이 상황이나 감정에 따라 왜곡되었음을 주장하여 진실성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처럼 오 기억과 인간 기억의 취약성을 적절히 활용하면 변론 전략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전략은 신중하게 사용되어야 하며, 과도한 일반화나 왜곡은 오히려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