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평가 B형) 비확률적 표집의 개념과 방법을 설명하고 이것이 유아교육에서 실제로 반영된 사례 1가지를 riss4u.net에서 찾아
본 내용은
"
(교육평가 B형) 비확률적 표집의 개념과 방법을 설명하고 이것이 유아교육에서 실제로 반영된 사례 1가지를 riss4u.net에서 찾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1
문서 내 토픽
-
1. 비확률적 표집의 개념비확률적 표집은 확률이론이 제시하지 않은 방식들로 표본을 추출하는 기법이다. 즉 모집단을 잘 모르고 있어서 확률적 표본표집이 불가능하거나 현실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경우 사용하는 표본모집방법이다. 비확률적 표집은 확률적 표본모집의 대표성이나 오차 추정 가능성 등이 결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
2. 비확률적 표집의 방법비확률적 표집방법에는 유의적(판단적)표집, 눈덩이 표집, 할당 표집 등이 있다. 유의적(판단적)표집은 연구자의 판단 하에 가장 유용하거나 대표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것들을 관찰될 단위들로 추출하는 방법이다. 눈덩이 표집은 처음에는 소규모의 응답자 집단으로 시작하여 다음에는 이 응답자들을 통하여 비슷한 속성을 가진 다른 사람들을 소개하도록 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표집방법이다. 할당표집은 모집단의 일부로부터 할당에 의하여 선택되는 모집단의 표집을 말한다.
-
3. 비확률적 표집이 유아교육에서 실제로 반영된 사례본 사례는 '유아교사를 위한 액션러닝 기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교사 정보공유 사이트와 교사교육원 게시판에 모집공고를 게시하고 직접 또는 지인을 통해 교사와 원장에게 연구 참여를 요청하여 7명의 표집대상을 모집하였다. 최종적으로 5명의 유치원교사와 연구자가 액션러닝 학습팀을 구성하였다. 표집대상 교사들의 평균연령은 29세, 교직경력은 4.1년이었으며, 대부분 미디어 관련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다.
-
1. 비확률적 표집의 개념비확률적 표집은 모집단의 특성을 대표하지 않는 표본을 선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모집단의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므로 일반화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비확률적 표집은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들며,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 유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탐색적 연구나 사례 연구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구 목적과 상황에 따라 비확률적 표집 방법을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
2. 비확률적 표집의 방법비확률적 표집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편의 표집은 연구자가 접근하기 쉬운 대상을 선정하는 방법이며, 판단 표집은 연구자의 판단에 따라 대상을 선정하는 방법입니다. 또한 할당 표집은 모집단의 특성을 반영하여 표본을 선정하는 방법이며, 눈덩이 표집은 기존 참여자의 소개를 통해 대상을 선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비확률적 표집 방법은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므로, 연구 목적과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
3. 비확률적 표집이 유아교육에서 실제로 반영된 사례유아교육 분야에서 비확률적 표집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의 교사나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편의 표집이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에서는 판단 표집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특정 지역의 유아 발달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에서는 할당 표집이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유아교육 분야에서는 연구 목적과 상황에 따라 다양한 비확률적 표집 방법이 활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