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산 윤리설에 있어 정감의 도덕적 기능과 현실에의 적용
본 내용은
"
[한국성리학의 발전과 심학적 실학적 변용] 다산 윤리설에 있어 정감의 도덕적 기능과 현실에의 적용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09
문서 내 토픽
-
1. 다산 윤리설의 주요 내용다산 정약용은 인간의 본성을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것으로 규정하며 성선설을 주장했다. 그는 반도덕적 행위를 한 사람이 도덕적 자극을 받았을 때 느끼는 부끄러움, 눈물, 얼굴 붉어짐 등의 반응을 통해 성선을 논증했다. 또한 두려움이 반도덕적 행위를 막고 도덕적 행위를 유도한다고 강조했지만, 두려움이 올바른 행위를 방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
2. 촉법소년 기준 연령 하향의 의미현재 논의되고 있는 촉법소년 연령 조정안은 만 14세 미만에서 만 12세 미만으로 기준 연령을 낮추는 것이다. 이는 소년보호주의 이념에서 벗어나 소년범죄에 대한 처벌을 강화함으로써 범죄를 예방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다산의 관점에서 볼 때 이는 두려움이라는 부정적 정감을 이용하여 반도덕적 행위를 저지르지 못하도록 막는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다.
-
3. 정감의 도덕적 기능을 통해 본 촉법소년 문제 해결 방법다산은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기 스스로 자신의 잘못에 대해 두려움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촉법소년 문제에 적용하면, 소년들로 하여금 형벌이라는 두려움을 강화하여 범죄를 저지르지 못하도록 막는 것보다는 소년들 스스로 범죄를 잘못으로 인식하고 이를 저지르는 것이 스스로에게 두려운 일이라는 것을 깨우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정감의 도덕적 기능을 믿고 이를 통해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
1. 다산 윤리설의 주요 내용다산 정약용의 윤리설은 성리학적 윤리관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는 인간의 본성을 선하다고 보는 성리학의 입장을 거부하고, 인간의 본성은 선악이 혼재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도덕적 행위의 동기를 이기심에서 찾았으며, 개인의 욕구 충족과 사회적 조화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그는 성리학의 이상주의적 윤리관에서 벗어나 보다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윤리관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
2. 촉법소년 기준 연령 하향의 의미촉법소년 기준 연령 하향은 청소년 범죄에 대한 사회적 우려와 대응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청소년 범죄가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다는 인식에 기반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가 과연 청소년 범죄 예방과 재발 방지에 효과적일지는 의문이다. 오히려 청소년들의 인권 침해와 사회적 낙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촉법소년 기준 연령 하향보다는 청소년들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3. 정감의 도덕적 기능을 통해 본 촉법소년 문제 해결 방법정감의 도덕적 기능을 고려할 때, 촉법소년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단순한 처벌 강화보다는 청소년들의 정서적 안정과 건강한 인격 형성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감은 타인에 대한 공감과 배려의 바탕이 되므로, 이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과 상담 프로그램 등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청소년들의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건전한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건강한 성장을 도모하고 촉법소년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