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RET 결과 실험 레포트
본 내용은
"
물리분석실험 FRET 결과 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09
문서 내 토픽
-
1. FRET 에너지 전이 현상FRET은 들뜬 상태의 donor가 바닥상태로 내려오면서 바닥상태의 acceptor를 들뜬 상태로 만드는 에너지 전이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는 광자의 방출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FRET 효율은 색소쌍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며, 거리가 가까울수록 FRET이 잘 일어나 FRET 효율이 증가하게 됩니다. 본 실험에서는 TCSPC를 이용하여 형광단의 수명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DNA에 부착된 색소쌍 사이의 거리를 구하였습니다.
-
2. 형광단의 수명 측정TCSPC를 이용하면 형광단에서 방출되는 광자들을 측정할 수 있고, 형광단의 decay 그래프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형광단의 수명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본 실험에서는 Cy3 ssDNA, short distance Cy3-Cy5 dsDNA, long distance Cy3-Cy5 dsDNA의 형광수명을 측정하였고, 이를 통해 FRET 효율과 색소쌍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였습니다.
-
3. FRET 효율 계산FRET 효율은 형광수명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E = 1 - (tau_DA / tau_D) 의 식을 이용하여 FRET 효율을 계산하고, 이를 다시 E = (R_0^6) / (R_0^6 + r^6) 의 식에 대입하면 색소쌍 사이의 거리 r을 구할 수 있습니다. 본 실험에서는 이를 통해 short distance Cy3-Cy5 dsDNA의 색소쌍 거리는 5.07nm, long distance Cy3-Cy5 dsDNA의 색소쌍 거리는 6.07nm로 계산되었습니다.
-
4. FRET 측정의 한계FRET을 통한 거리 측정은 nm 단위의 분석이 가능하지만, 측정되는 거리가 단일한 값이 아닌 분자 내에서의 분포를 반영하는 평균값이라는 한계가 있습니다. 특히 flexible한 단일가닥 DNA의 경우, sample 내에 존재하는 형광단들이 서로 다른 길이의 색소쌍 거리를 가지고 있어 정확한 거리 측정이 어렵습니다. 또한 donor 형광단의 수명 측정 시 ssDNA와 dsDNA의 차이로 인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5. FRET을 이용한 생체분자 연구FRET은 생체 내에서 일어나는 biomolecule의 구조 변화를 감지하는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슐린 수용체의 인산화에 따른 구조 변화를 FRET을 통해 관찰할 수 있습니다. 수용체에 donor 색소를, 기질 단백질에 acceptor 색소를 부착하고 인산화 반응에 따른 FRET 효율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세포 내 신호 전달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
1. FRET 에너지 전이 현상FRET (Förster Resonance Energy Transfer) 에너지 전이 현상은 분자생물학 및 생화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기술입니다. 이 현상은 두 개의 형광단 사이에서 일어나는 비방사성 에너지 전이 과정으로, 두 형광단 사이의 거리와 상대적인 배향에 매우 민감합니다. FRET 효율 측정을 통해 생체 내 분자 간 상호작용, 구조 변화, 단백질 접힘 등을 연구할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은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분자 수준의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게 해줍니다. 따라서 FRET 에너지 전이 현상은 생물학 및 생화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2. 형광단의 수명 측정형광단의 수명 측정은 FRET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형광단의 수명은 FRET 효율 계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형광단의 수명은 여기 상태에서 바닥 상태로 떨어지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이는 형광단의 고유한 특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형광단의 수명 측정을 통해 FRET 효율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생체 내 분자 간 상호작용, 구조 변화 등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형광단의 수명 측정은 FRET 연구에서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FRET 효율 계산FRET 효율 계산은 FRET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FRET 효율은 공여체 형광단에서 수용체 형광단으로의 에너지 전이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를 통해 분자 간 거리와 상대적인 배향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FRET 효율 계산을 위해서는 공여체와 수용체의 형광 스펙트럼, 양자수율, 수명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실험 조건, 시료 준비 과정 등에 따라 FRET 효율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정확한 계산이 필요합니다. FRET 효율 계산의 정확성은 FRET 연구의 신뢰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
4. FRET 측정의 한계FRET 측정 기술은 생물학 및 생화학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지만, 몇 가지 한계점도 존재합니다. 첫째, FRET 효율 측정을 위해서는 형광단 간 거리가 1-10 nm 범위 내에 있어야 하므로, 이 범위를 벗어나는 분자 간 상호작용은 관찰하기 어렵습니다. 둘째, 형광단의 크기와 구조가 FRET 효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를 고려한 실험 설계가 필요합니다. 셋째, 복잡한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FRET 신호를 정확하게 해석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한계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형광단 개발, 데이터 분석 기법 개선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5. FRET을 이용한 생체분자 연구FRET 기술은 생체분자 연구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FRET을 통해 단백질 접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핵산 구조 변화 등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습니다. 특히 FRET은 생체 내 환경에서 분자 간 거리와 상대적인 배향을 측정할 수 있어, 생물학적 시스템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또한 FRET 기술은 약물 스크리닝, 단백질 상호작용 매핑, 신호 전달 경로 분석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향후 FRET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더불어 생체분자 연구에서의 활용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
Photosynthesis(10주차) 결과 레포트 6페이지
Photosynthesis결과 레포트2017년 6월 1일2016153014 박무완실험의 목적Photosynthesis는 식물세포의 chloroplast에서 일어난다. 이는 5~10 마이크로미터의 작은 크기의 녹색 기관이고, chloroplast 속은 thylakoid와 stroma로 구분된다. Thylakoid는 녹색의 납작한 주머니이고, thylakoid들이 쌓여서 생긴 층상구조를 grana라고 한다. Thylakoid에서는 O2와 ATP, NADPH2를 만들어내는 명반응이 일어난다. 반면 stroma는 thylakoid외의 액체...2018.10.09· 6페이지 -
DNAprep & luciferase assay & Real time PCR 10페이지
1. Introduction-DNA precipication-Mini prep은 Plasmid DNA를 분리하는 방법을 말하는데 prep이라는 표현은 플라스미드 준비(plasmid preparation)나 플라스미드 추출(plasmid extraction)의 약자를 일컫는 말이다. 앞에 mini-가 붙었으므로 소량의 plasmid를 추출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pH를 이용하여 DNA를 분리하기 때문에 Alkaline lysis method이다.SDS와 NaOH가 들어간 용액은 두 가지 DNA변형을 일으키는데 chromosomal DNA...2019.08.26· 10페이지 -
공중보건학 실습 - PCR과 REAL TIME PCR의 원리, 실습과정 5페이지
공중 보건학 실습 REPORT주제 : 공중보건 기초실험3. Real time PCR일반적인 PCR은 증폭 이후 전기영동법으로 결과를 분석하게 되는데, 전기영동법은 민감도나 해상도가 낮기 때문에 정량적인 분석이 어렵다. 무엇보다도 PCR 반응 후 end - point에서 분석되기 때문에 초기 투입한 template DNA의 양을 확인할 수 없다. 이런 전기영동법의 단점을 극복학 위해 개발된 것이 Real time PCR이다. Real time PCR은 말그대로 증폭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증폭되는 양을 정량할 수 있는 방법으로...2014.12.03· 5페이지 -
confocal microscopy 6페이지
Abstract이번 실험은 animal cell(293T HEK cell)을 transfection 시켜서293T-EGFP transfection cell을 Confocal Microscopy를 이용해 관찰하고, confocal microscopy의 원리를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실험은 293T HEK cell4x105개를 counting 해서 T-flask에 분주하고 incubation 한 후 ① incubation 한 cell+fransfection mix(EGFP가 들어있는 것), ②incubation 한 cell+control...2009.08.05· 6페이지 -
PCR 및 전기영동 법 27페이지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garose Gel ElectrophoresisHistory of Polymerase Chain Reaction1971J Molecular Biology에 Kleppe et al.가 처음으로 enzyme과 합성된 oligonucleotide를 이용하여 짧은 DNA의 replication을 보고하였으나 당시 주목을 받지 못하였음.1983Kary Mullis(Cetus Corp.)에 의해 특정 부위를 증폭시킬 수 있는 polymerase chain reaction이 고안됨. 1...2012.06.26· 2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