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건보고서, 건강관리정보체계, NISS, OCS PACS, LIS, EMR, EDI
문서 내 토픽
-
1. 사건보고서사건보고서(Incident report)는 대상자나 직원 혹은 방문객에게 해로운 결과가 나타날 수 있거나 손상을 주는 범주에서 벗어난 모든 사건발생을 기록하는 것입니다. 사건은 일반적 치료과정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특이한 어떤 상황을 모두 의미하며, 예를 들어 낙상, 주사침 자상(needlestick injury) 시 사건 사고 보고를 실시합니다. 사건보고서의 완성은 실제 혹은 잠재적인 손상이 있을 때 발생하며, 대상자 의무기록에서 오류가 발생한다는 언급을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사건에 대해서와 대처방법을 객관적인 묘사를 통해 하는 것도 필요하며, 오류 혹은 사건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을 평가하고 기록하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이것의 목표는 미래사건의 재발을 막기 위해 필요한 변화를 확인하기 위함입니다.
-
2. 간호정보체계(NIS)간호정보체계(nursing information system, NIS)는 임상정보체계의 하위 영역으로, 간호사가 대상자의 자료와 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통합하여 간호진단을 내리거나 간호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하며 제공된 간호를 평가할 때 도움을 주어 간호업무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
3. 처방전달체계(OCS)처방전달체계(order communication system, OCS)는 의사가 처방을 입력하면 처방이 원무과, 약국, 채혈실, 방사선과, 검사실 등 해당 과로 전달되어 수가가 산정됨과 동시에 약물, 채혈, 방사선 촬영 등을 미리 준비하도록 정보를 전달하고 확인할 수 있는 체계입니다.
-
4. 영상정보저장전송체계(PACS)영상정보저장전송체계(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PACS)는 의학용 영상정보의 저장, 판독 및 검색 기능 등의 수행을 통합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
5. 검사정보체계(LIS)검사정보체계(laboratory information system, LIS)는 전달받은 처방 자료를 각종 검사 장비와 연동함으로써 검사 결과를 자동으로 입력하고 통보하는 시스템입니다.
-
6. 전자의무기록(EMR)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은 영상과 음향을 포함한 진단연구결과 뿐만 아니라 의사결정지원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기존에 종이매체에 기록했던 모든 의료기록을 전산하여 입력, 관리, 검색하는 시스템입니다.
-
7. 전자문서교환(EDI)전자문서교환(electronic data interchange, EDI)은 주문서, 납품서, 청구서 등 무역에 필요한 각종 서류를 표준화된 상거래 서식을 통해 서로 합의된 통신 표준에 따라 전자적 신호로 바꿔 컴퓨터 간에 교환하는 정보전달방식을 말합니다.
-
1. 사건보고서사건보고서는 의료기관에서 발생한 사건이나 사고를 기록하고 관리하는 중요한 문서입니다. 이를 통해 사건의 원인을 분석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사건보고서에는 사건의 개요, 발생 경위, 피해 상황, 조치 사항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의료기관은 환자 안전을 보장하고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사건보고서는 법적 증거로도 활용될 수 있어 의료기관의 책임을 입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사건보고서 작성과 관리는 의료기관의 중요한 업무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간호정보체계(NIS)간호정보체계(NIS)는 간호사들이 환자 간호와 관련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입니다. NIS를 통해 간호사들은 환자의 건강 상태, 간호 계획, 간호 수행 내역 등을 전자적으로 기록하고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간호의 연속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의료진 간 의사소통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또한 NIS에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간호 실무 개선, 간호 인력 관리, 간호 연구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NIS는 간호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간호사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처방전달체계(OCS)처방전달체계(OCS)는 의사의 처방전을 전자적으로 관리하고 전달하는 시스템입니다. OCS를 통해 의사는 처방전을 직접 입력하고, 이를 약제부나 검사실 등에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처방 오류를 줄이고, 처방 정보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OCS에 축적된 처방 데이터를 활용하여 약물 상호작용 분석, 처방 패턴 분석 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의료진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환자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OCS는 의료기관의 업무 효율성과 의료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4. 영상정보저장전송체계(PACS)영상정보저장전송체계(PACS)는 의료기관에서 생성되는 각종 의료 영상 정보를 디지털 형태로 저장하고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PACS를 통해 의료진은 언제 어디서나 환자의 영상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진단 및 치료 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PACS에 축적된 영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의료 연구, 교육, 품질 관리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의료기관의 생산성과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PACS는 현대 의료기관에서 필수적인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5. 검사정보체계(LIS)검사정보체계(LIS)는 의료기관에서 수행되는 각종 검사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LIS를 통해 검사 의뢰, 검사 수행, 결과 보고 등의 과정을 전자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검사 정보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높일 수 있으며, 검사 결과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습니다. 또한 LIS에 축적된 검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검사 패턴 분석, 검사 품질 관리, 검사 인력 관리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의료기관의 검사 서비스 효율성과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LIS는 현대 의료기관에서 필수적인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6. 전자의무기록(EMR)전자의무기록(EMR)은 환자의 진료 정보를 전자적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EMR을 통해 의료진은 환자의 병력, 진단 결과, 처방 내역, 간호 기록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 정보의 정확성과 접근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의료진 간 의사소통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또한 EMR에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의료 서비스 개선, 의료 연구, 의료 정책 수립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EMR은 의료기관의 업무 효율성과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7. 전자문서교환(EDI)전자문서교환(EDI)은 의료기관과 보험사, 정부 기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에 진료 정보, 청구 정보, 보험 정보 등을 전자적으로 교환하는 시스템입니다. EDI를 통해 의료기관은 진료 정보를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으며, 보험사는 청구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의료기관의 업무 효율성과 수익성을 높일 수 있으며, 보험사의 업무 처리 속도와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EDI를 통해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의료 정책 수립, 보험 제도 개선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EDI는 의료기관과 보험사 간의 협력을 강화하고,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건보고서, 건강관리정보체계, NISS, OCS PACS, LIS, EMR, EDI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