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심리학_순종을 일으키기 위한 사회적 세력 기반 및 순종을 얻어내는 기법들에 대한 이해
본 내용은
"
사회심리학_순종을 일으키기 위한 사회적 세력 기반 및 순종을 얻어내는 기법들에 대한 이해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07
문서 내 토픽
-
1. 순종과 복종의 개념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매우 부담스러운 것이 아니면 그다지 내키지 않는 일이더라도 타인의 요구를 무심코 그리고 순순히 들어주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타인의 요청에 응해주는 행위를 순종 또는 응종이라고 한다. 이와 달리 소수가 다수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경우가 있는데, 즉 독특하고 참신한 관점을 가진 소수가 다수의 입장을 변화시키기도 하는 것이다. 이처럼 소수의 개인이나 소수집단이 다수의 믿음이나 행동을 바꾸는 것을 소수의 영향력이라고 한다. 한편 순종은 타인의 부탁을 들어주는 행위이지만 상사나 어른 등의 권위적 인물의 명령이나 지시에 따르는 행위는 복종이라고 한다. 복종은 개념적으로 순종에 비해서 강제적 성격이 더 강해서 강요된 순종이라고도 한다.
-
1. 순종과 복종의 개념순종과 복종은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제한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회 질서와 조화를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순종과 복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개인의 자율성과 존엄성을 존중하면서도 공동체의 이익을 위해 필요한 순종과 복종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순종과 복종이 강요되어서는 안 되며,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는 선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순종과 복종의 대상이 되는 권위나 규범이 정당성과 합리성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결국 순종과 복종은 개인과 공동체의 균형을 이루는 방향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