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크레이션 개념 정리
본 내용은
"
레크레이션 개념 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07
문서 내 토픽
  • 1. 레크리에이션의 정의
    레크리에이션의 정의는 웹스터 사전에서 노동 후의 육체와 정신을 새롭게 하는 것이며 기분전환, 놀이 등 또는 쾌락이나 즐거움을 주도록 하는 수단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정의에서와 같이 레크리에이션의 성격은 정신의 재보급이며 일상으로부터의 변화이며, 즐거움이며 또한 건설적 활동이어야 한다.
  • 2. 레크리에이션의 인간행태적 정의
    인간행태의 관점에서 정의하면 5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레크리에이션은 레크리에이션의 관여로부터 결과하는 하나의 경험이다. 레크리에이션에 있어 개인은 어떤 심리적 동기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목적을 추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레크리에이션은 개인에 있어 전체적인 경험으로 정의된다. 또한 레크리에이션에의 관여는 그것을 하는 사람의 개입을 요구한다. 에너지, 시간, 인간 행태, 돈의 투입이 요구되며, 이들은 제약조건이 되고 있다. 레크리에이션의 관여는 스스로의 보상이다. 노동이 소득을 얻는 것이 목적인 데 반하여 레크리에이션은 그것 자체가 목적이다. 레크리에이션의 관여는 개인적이며 또한 자유로운 선택을 하도록 요구한다. 레크리에이션의 관여는 의무가 없는 시간에 발생한다.
  • 3. 레크리에이션과 관련 용어의 구분
    레크리에이션 및 레크리에이션은 다른 용어와 혼용하여 사용되어 왔고, 아직도 일반적인 합의에 의할 수 밖에 없다. 여기서 여가, 관광 등과의 구분과 기본적인 정의를 구분해보면 레크리에이션을 위한 여행이며 사업이나 정부기능으로서 여행자의 관리나 안내를 의미하는 관광여행이 있다.
  • 4. 레크리에이션 계획과 설계
    레크리에이션 계획은 사람들은 여가시간 및 공간에 연결시키는 하나의 과정이며 사람들의 현재와 미래의 여가 수요를 수용하기 위한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다. 레크리에이션 설계는 사람들을 레크리에이션의 형태와 기능에 연결시키는 과정이다. 레크리에이션 공간의 현재 또는 미래의 이용자를 연결시키는 설계를 창출하기 위하여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다.
  • 5. 레크리에이션 수요 분석
    수요의 종류는 잠재수요, 유도 수요, 표출수요가 있다. 수요를 결정짓는 변수로는 잠재적 이용자, 대상지 자체, 거리 및 접근성이 있다. 수요량 산정 방법에는 표준 원 단위 적용, 집중률, 가동률, 회전률, 버얼리 공식, 일방문객 추정법, 연 방문객 추정법, 시계열 모델, 중력 모델, 요인분석 모델, 비교 추정법, 자동차 수 이용법, 만족점 추정법, 자원용량 산정법 등이 있다.
  • 6. 리조트 계획
    리조트의 정의는 정적인 공간에 보양(스키, 보트 놀이, 다이빙 등)과 레크리에이션을 위한 장소이다. 리조트 계획 시 고려사항은 자연경관과 함께 체재에 필요한 흥미 대상이 있어야 하며, 옥외공간을 여유 있게 확보하고, 접근성이 양호하도록 하며, 교류나 교환의 기회 및 장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일정수준 이상의 쾌적한 생활 서비스 및 편리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 7. 마리나 계획
    마리나는 '해안의 산책림'이라는 의미의 라틴어로, 계류, 보관, 수리시설 등이 완비 된 요트나 보트를 이용한 레크리에이션을 위한 항만을 총칭한다. 입지 조건은 공기가 맑고 경관 수려해야 하며 풍향 등 해상의 기상변화가 심하지 않은 곳이어야 한다. 간선도로와 인접, 대도시로부터 교통 거리 1~2시간 이내인 곳이어야 한다.
  • 8. 스키장 계획
    스키장 계획 시 유의사항은 스키장의 설질 유지를 위한 북사면 경사, 코스의 북동향 경사, 10ha 이상의 규모, 겨울철 강수량이 많으면서 적설기에 비 오는 날이 적은 기후 등이다. 시설 조건으로는 리프트 경사 30° 이하, 초보자 코스 폭이 넓고 상급 코스 폭이 좁은 스키 코스 경사 4~25°가 적당하다.
  • 9. 골프장 계획
    골프장의 구성은 표준적 골프 코스는 18개의 홀(기본타수 72타)이어야 하며, 전장은 6300야드, 용지면적은 60~80만㎡ 정도이다. 홀의 구성은 티잉 그라운드, 페어웨이, 그린, 벙커, 러프 등으로 이루어진다. 경사, 잔디 종류, 장애물 등이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 10. 해수욕장 계획
    해수욕장의 입지조건은 해안선의 연장이 500m 이상이어야 하며, 기온 24℃ 이상으로 맑은 날이 많고 바람이 고르게 부는 곳이어야 한다. 경사는 2~10%가 좋으며 서북쪽의 배후에 언덕이나 산이 있는 곳이어야 한다. 외부 시설의 규모 산정 시 적용하는 공간 단위는 10~20㎡/인, 옥외풀장의 수면적단위는 약 24 ㎡/인이다.
  • 11. 도로 및 보행공간 계획
    보도, 몰, 녹도, 보행자 전용도로, 보행광장 등 다양한 보행공간 유형이 있다. 주간선도로, 보조간선도로, 집산도로, 국지도로, 특수도로 등 도로 유형별 도로율 기준이 있다. 도로모퉁이의 곡선반경은 도로의 기능별 분류에 따라 규정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레크리에이션의 인간행태적 정의
    레크리에이션은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과 참여를 통해 이루어지는 활동으로, 이는 개인의 심리적, 사회적, 신체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기여한다. 레크리에이션은 단순한 여가활동이 아니라 개인의 성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된다. 따라서 레크리에이션에 대한 이해와 연구는 개인의 행동과 심리, 사회적 관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되어야 한다.
  • 2. 주제4: 레크리에이션 계획과 설계
    레크리에이션 계획과 설계는 이용자의 요구와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수요 분석, 입지 선정, 시설 및 프로그램 계획, 관리 방안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또한 지속가능성, 접근성, 안전성 등의 측면에서도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레크리에이션 계획과 설계는 단순한 시설 조성이 아닌 이용자의 만족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종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 3. 주제6: 리조트 계획
    리조트 계획은 자연환경과 지역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이용자의 휴양과 여가 활동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입지 선정, 시설 배치, 프로그램 개발, 운영 관리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특히 자연 보전과 지역 사회와의 조화, 지속가능성 등이 중요한 계획 원칙이 된다. 리조트 계획은 단순한 시설 조성이 아닌 이용자의 만족과 지역 발전을 위한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 4. 주제8: 스키장 계획
    스키장 계획은 겨울철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시설과 공간을 체계적으로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입지 선정, 슬로프 및 리프트 계획, 편의 시설 배치, 동선 계획, 환경 보전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특히 안전성, 접근성, 지역 경제 활성화, 지속가능성 등이 중요한 계획 원칙이 된다. 스키장 계획은 단순한 시설 조성이 아닌 이용자의 만족과 지역 발전을 위한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 5. 주제10: 해수욕장 계획
    해수욕장 계획은 해양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시설과 공간을 체계적으로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입지 선정, 해변 및 부대 시설 배치, 동선 계획, 환경 보전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특히 안전성, 접근성, 지역 경제 활성화, 생태계 보호 등이 중요한 계획 원칙이 된다. 해수욕장 계획은 단순한 시설 조성이 아닌 이용자의 만족과 지역 발전을 위한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