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차산업혁명 속 공연예술과 멀티미디어콘텐츠_발터 벤야민의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에 대하여
본 내용은
"
4차산업혁명 속 공연예술과 멀티미디어콘텐츠_발터 벤야민의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에 대하여 자유롭게 리서치를 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음의 세 단어에 대해 자신이 이해한 바를 자신의 관점으로 텍스트의 형태로 정리, 이를 기반으로 현대의 다양한 범주의 예술에 대해 자유롭게 논해보세요.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07
문서 내 토픽
-
1. 벤야민이 바라본 복제기술의 발달발터 벤야민은 예술작품의 기술적 복제가 가능해지면서 예술작품의 아우라가 점차 훼손되었다고 보았습니다. 하지만 복제의 대량화로 인해 예술작품을 대중에게 더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생각했습니다. 사진기술의 발달로 예술과 사진의 관계에 대한 논쟁이 시작되었지만, 이는 예술사에서 한 획을 긋는 사건이었습니다. 복제기술의 발달은 예술작품의 가능성을 열어주기도 했지만 위험성도 대두되었습니다.
-
2. 아우라벤야민은 복제기술의 발달로 예술작품의 아우라, 즉 예술작품 원작이 가진 진실성과 광채 등의 가치가 점차 위축된다고 보았습니다. 하지만 벤야민은 이를 오히려 긍정적으로 해석했습니다. 복제품 역시 원본이 가지지 못한 다른 종류의 가치를 가질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아우라의 붕괴로 인해 종교적 가치와 제의가치가 줄어들었지만, 새로운 전시가치가 발달하면서 예술작품의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냈다고 보았습니다.
-
3. 전시가치벤야민은 사진기술의 발달로 전시가치가 본격적으로 발생하기 시작했다고 보았습니다. 전시가치를 통해 예술작품의 내재된 가치가 인정받을 수 있고, 전시가치 없이는 예술작품의 기능이 상실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는 작품은 예술작품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기 어렵다는 것이 벤야민의 견해였습니다.
-
4. 제의가치벤야민은 복제기술의 발달로 제의가치가 쇠퇴하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예술작품 자체가 가지는 제의가치는 변함없을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우리가 예술작품을 감상하고 느끼는 모든 감정이 바로 예술작품의 제의가치라고 생각했습니다. 제의가치의 발전이 전시가치라고 보았기 때문에, 시대가 변해도 예술작품의 제의가치는 지속될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
1. 주제2: 아우라벤야민이 말하는 '아우라'는 예술작품이 지니고 있는 고유한 분위기와 분위기감을 의미합니다. 그는 복제기술의 발달로 인해 예술작품의 아우라가 사라지게 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아우라의 상실은 예술의 대중화와 민주화를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도 있습니다. 예술작품의 아우라가 사라짐에 따라 예술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졌고, 이는 예술이 특정 계층의 전유물이 아닌 대중의 향유 대상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아우라의 상실은 예술의 대중화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예술작품의 고유성과 진정성이 사라지게 된 것은 아쉬운 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주제4: 제의가치벤야민은 예술작품이 지니고 있는 제의가치에 대해서도 언급했습니다. 제의가치란 예술작품이 지니고 있는 종교적, 의례적 가치를 의미합니다. 벤야민은 복제기술의 발달로 인해 예술작품의 제의가치가 사라지게 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에 따르면 예술작품이 더 이상 특정한 시간과 공간에 묶여있지 않게 되면서 작품의 제의가치가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이는 예술작품이 더 이상 종교적, 의례적 맥락에서 향유되지 않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벤야민은 복제기술의 발달이 예술작품의 제의가치를 파괴했다고 보았습니다. 이는 예술작품의 고유성과 진정성이 사라지게 되었다는 그의 주장과 맥락을 같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