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의 차이점에 대해 비교분석해보자
본 내용은
"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의 차이점에 대해 비교분석해보자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06
문서 내 토픽
  • 1. 개별 원가계산(Job-Order Costing)
    개별 원가계산이란 개별 제품이나 작업별로 원가를 집계하여 다시 제품에 배부하는 방식의 원가 계산 방법이다. 그러므로 주문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생산하는 조선업, 항공기 산업, 기계 제작업 등에서 사용한다. 이때 작업(job)이란 별도의 원가를 집계하는 단위를 의미하고 제품 각각을 별도 작업 단위로 설정할 수도 있고 묶음(batch) 생산방식에 의해 생산되는 동종 여러 제품을 하나의 작업 단위로 설정할 수도 있다.
  • 2. 종합원가계산(Process Costing)
    종합원가계산이란 제지업, 시멘트제조업, 석유화학산업, 제약업, 식품 가공업 등과 같은 표준화된 작업공정을 통해 한 가지 제품만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제조환경에서 사용하는 원가 계산방식이다. 종합원가계산 방식을 채택한 기업은 주로 한 종류의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므로 개별 원가계산처럼 제품별로 원가를 집계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그러므로 종합원가계산은 생산라인에서 일정 기간 발생한 제조원가를 집계하고 동기간 동안 생산된 제품의 총수량으로 나눈 단위당 원가계산 방식을 사용한다.
  • 3. 개별 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의 차이점
    개별 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의 가장 근본적인 차이점은 '원가를 어떤 관점에서 분류하는가?'이다. 개별 원가계산은 원가를 추적 가능성에 따라 직접비와 간접비로 분류하고 종합원가계산은 원가의 투입 시점에 따라 재료비와 가공비로 분류하게 된다. 그러므로 원가요소의 성격은 같더라도 분류의 기준의 차이가 두 원가 계산방식의 차이를 불러온다. 개별 원가계산의 가장 중점은 제조간접비의 배부이고 종합원가계산의 핵심은 완성품환산량의 계산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개별 원가계산(Job-Order Costing)
    개별 원가계산은 주문별로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원가계산 방식입니다. 각 주문에 대한 직접 재료비, 직접 노무비, 제조 간접비 등을 구분하여 계산하고, 이를 통해 개별 주문의 총 제품 원가를 산출합니다. 이 방식은 제품의 특성이나 주문량이 다양한 경우에 적합하며, 주문별 수익성 분석이 용이합니다. 또한 제품 원가 정보를 바탕으로 가격 결정, 생산 계획 수립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주문 간 비교가 어렵고, 제품 원가 정보 수집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2. 종합원가계산(Process Costing)
    종합원가계산은 동일한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기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원가계산 방식입니다. 생산 공정별로 투입된 직접 재료비, 직접 노무비, 제조 간접비를 합산하여 단위 제품 원가를 계산합니다. 이 방식은 제품의 특성이 동일하고 생산량이 많은 경우에 적합하며, 제품 원가 정보 수집이 상대적으로 용이합니다. 또한 공정별 원가 분석을 통해 생산 효율성 향상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별 제품의 수익성 분석이 어렵고, 제품 차별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 3. 개별 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의 차이점
    개별 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의 가장 큰 차이점은 원가 대상의 차이입니다. 개별 원가계산은 개별 주문을 원가 대상으로 하는 반면, 종합원가계산은 생산 공정을 원가 대상으로 합니다. 따라서 개별 원가계산은 주문별 수익성 분석이 용이하지만, 종합원가계산은 공정별 효율성 분석에 유리합니다. 또한 개별 원가계산은 제품 특성이나 주문량이 다양한 경우에 적합하고, 종합원가계산은 동일한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이처럼 두 방식은 기업의 생산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