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병리사 국가고시 임상화학 핵심 정리
본 내용은
"
임상병리사 국가고시 임상화학 핵심 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05
문서 내 토픽
  • 1. 용혈시 변화
    용혈시(방치시) 증가 - K(칼륨), LDH, AST, CK, ACK용혈시(방치시) 감소 - glocuse, 빌리루빈
  • 2. 식사 후 변화
    식사 후 감소하는 항목 - 무기인(ATP사용)
  • 3. 채혈 후 변화
    채혈 후 30분 이내 측정 항목 - 암모니아
  • 4. 일내 변동
    일내변동오전이 높은 것 : Fe(철), 코르티솔오후가 높은 것 : K(칼륨), GH(성장호르몬)
  • 5. 용량기구 및 광도계
    용량기구 - 검정온도 20도 / 광도계- 분광광도계 : 가시광선- 형광광도계 : 수은 / 직각 / 단색화장치 2개- 네팔로미터 : 산란광 측정 / 직각- 화학발광계 : 램프 X / CLIA- 원자흡광광도계 : 속빈음극램프
  • 6. 전기영동
    전기영동(전하에 따른 이동률차이)심지유동(Wick flow) - 완충액 이온강도 증가단백질 단일성분 - 알부민반치폭 - 프리즘
  • 7. POCT 및 분석기
    POCT(간이혈당측정기) - Spectrophotometer(광학분석기)전기영동 - 등전점, 전기삼투모세관 전기영동 - 전기삼투크로마토 그래피 - 정지상, 이동상 - HPLC(고속액체 크로마토 그래피 / 수은) - 당화혈색소질량분석기 - 입자의 질량대 전하량 비 - 진공, 이온화하여 분리분석
  • 8. pH meter 및 삼투압 측정
    pH meter - 기준온도 25도삼투압 측정 - 총괄성(입자 수 측정) - 단위 : mOsm/kgK+ - Valinomycin 자주 출제
  • 9. 혈액가스 검사
    혈액가스 검사에서 기계가 직접 측정 - pH, pCO2, pO2
  • 10. 효소 단위
    효소 단위 : μmol / min / L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식사 후 변화
    식사 후에는 혈액 내 성분들의 농도가 변화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식후에는 혈당, 중성지방, 인슐린 등의 농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검사 전 공복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만 일부 검사의 경우 식후 상태에서 측정하는 것이 더 유의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검사 목적과 환자 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한 검체 채취 시점을 선택해야 합니다.
  • 2. 주제4: 일내 변동
    많은 생리학적 지표들은 하루 중 변동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 코르티솔, 성장호르몬, 체온 등은 일주기 리듬에 따라 변화합니다. 이러한 일내 변동은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검사 시간을 표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일부 검사의 경우 특정 시간대에 측정하는 것이 더 유의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검사 목적과 환자 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한 검체 채취 시간을 선택해야 합니다.
  • 3. 주제6: 전기영동
    전기영동은 단백질, 지질, 핵산 등의 분자량과 전하에 따른 분리를 통해 다양한 생물학적 물질을 분석하는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질병 진단, 유전자 분석, 단백질 구조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전기영동 기법은 정확성과 재현성이 중요하므로, 적절한 시료 준비, 전기영동 조건 설정, 결과 해석 등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또한 최신 기술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활용하여 전기영동 기법을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 4. 주제8: pH meter 및 삼투압 측정
    pH meter와 삼투압 측정기는 임상검사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H는 생체 내 산-염기 균형을 반영하는 지표로, 이상 소견은 다양한 질병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삼투압은 체액의 농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전해질 불균형 등의 진단에 활용됩니다. 이러한 기기들은 정확성과 정밀성이 매우 중요하므로, 정기적인 교정과 유지보수가 필수적입니다. 또한 측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 5. 주제10: 효소 단위
    효소 활성도 측정은 다양한 질병 진단과 치료 모니터링에 활용됩니다. 효소 활성도는 국제 단위계(SI)에 따라 katal(kat)로 표현되며, 이는 1초당 전환되는 기질의 몰 수를 나타냅니다. 효소 활성도 측정 시 정확한 단위 사용이 중요하며, 검사실 간 결과 비교를 위해서는 표준화된 단위 사용이 필요합니다. 또한 효소 활성도 측정 방법의 표준화와 더불어 새로운 측정 기술 개발을 통해 효소 검사의 정확성과 유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