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립성 저혈압의 개요와 진단, 치료
본 내용은
"
심혈관계간호, 성인간호학 기립성 저혈압의 개요와 진단, 치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04
문서 내 토픽
-
1. 기립성 저혈압기립성 저혈압은 최소 5분 이상의 supine position을 취한 뒤, 기립시 3분 이내로 SBP 20mmHg 또는 DBP 10mmHg 저하를 말한다. 원인은 가역적 또는 비가역적이며, 가역적 원인은 주로 hypovolemia 또는 medication이다. 기립성 저혈압은 신경성(nOH)과 비신경성(non-nOH)으로 나눌 수 있으며, nOH에서는 BP와 HR 반응이 심하게 dysfunctional이거나 전혀 없을 수 있다. 진단을 위해 supine-stand test와 head-up tilt table testing을 활용할 수 있다. 치료로는 약물 사용 검토, 비약물적 중재, 약물적 중재 등이 있으며, 동반된 supine 고혈압에 대한 치료도 필요하다.
-
2. 심혈관계 질환과의 관계기립성 저혈압은 심혈관계 유병률, 사망률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정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좌심실 비대 또는 이완기 장애 등 심장의 구조적 장애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
3. 진단 방법기립성 저혈압을 평가하는 가장 쉽고 중요한 방법은 supine에서 기립시 BP의 변화를 측정하는 supine-stand test이다. 또한 head-up tilt table testing을 활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12lead EKG, 약물 복용력 확인 등의 검사가 필요하다.
-
4. 치료 방법기립성 저혈압의 치료에는 약물 사용 검토, 비약물적 중재(천천히 일어서기, 물 마시기, 복대 착용 등), 약물적 중재(Midodrine, Droxidopa 등) 등이 있다. 동반된 supine 고혈압에 대한 치료도 필요하다.
-
5. 예후가역적인 OH의 경우 원인이 해결되면 예후가 좋지만, nOH의 경우 예후가 불량하다. 따라서 치료의 목표는 증상을 최소화하고 인생의 질을 높이는 보존적 치료가 되어야 한다.
-
1. 기립성 저혈압기립성 저혈압은 서 있을 때 혈압이 떨어지는 현상으로, 주로 노인이나 특정 질환을 가진 사람들에게 나타납니다. 이는 자율신경계의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하며, 어지러움, 실신, 피로감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심혈관계 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기립 혈압 측정, 자율신경계 기능 검사 등이 필요하며, 원인 질환 치료, 수분 및 염분 섭취 증가, 운동 등의 치료법이 있습니다. 적절한 관리와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2. 심혈관계 질환과의 관계기립성 저혈압은 심혈관계 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심장 기능 저하, 동맥경화, 고혈압 등 다양한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심혈관계 질환이 있는 경우 기립성 저혈압이 동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립성 저혈압과 심혈관계 질환은 서로 악화시키는 관계에 있어, 적절한 관리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기립성 저혈압이 있는 경우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정기적인 검진과 관리가 중요하며, 심혈관계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기립성 저혈압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3. 진단 방법기립성 저혈압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다양한 검사 방법이 필요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것은 기립 혈압 측정으로, 누워 있다가 일어났을 때 혈압이 일정 수준 이상 떨어지는지 확인합니다. 이와 함께 자율신경계 기능 검사, 심전도, 심초음파 등을 통해 원인 질환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립성 저혈압의 증상이 있는 경우 신경학적 검사, 혈액 검사 등을 통해 다른 질환과의 감별 진단도 필요합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전문의의 종합적인 평가가 중요하며, 이를 통해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
4. 치료 방법기립성 저혈압의 치료 방법은 원인 질환에 따라 다양합니다. 우선 수분 및 염분 섭취 증가, 압박 스타킹 착용, 운동 등의 생활 습관 개선이 필요합니다. 약물 치료로는 혈관수축제, 알파차단제, 항우울제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도 병행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당뇨병, 파킨슨병 등의 경우 해당 질환에 대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도 고려될 수 있습니다. 기립성 저혈압의 치료는 개인의 상황에 따라 맞춤형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
5. 예후기립성 저혈압의 예후는 원인 질환과 증상의 정도에 따라 다양합니다. 경증의 경우 생활 습관 개선과 적절한 치료로 증상을 잘 관리할 수 있지만, 중증의 경우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아 예후가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특히 심혈관계 질환이나 신경계 질환이 동반된 경우 예후가 좋지 않은 편입니다. 기립성 저혈압이 지속되면 실신, 낙상, 골절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검진과 함께 원인 질환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환자 개인의 상황에 맞는 관리가 중요합니다.
-
부신장애, 유방 및 전립선 장애 요약정리 13페이지
부신장애# 개요 시상하부에서 부신피질자극호르몬 유리호르몬 분비 -> 뇌하수체에서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분비 -> 부신은 당류코티코이드 호르몬 분비>1. kidney 위에 삼각형 모양 : 바깥층은 피질, 안쪽은 수질2. 피질은 3개 층으로 구성① glumerulosamineralocorticoids ex) Aldosterone, corticosterone-> 혈압변화나 몸의 염분균형 변화에 반응하여 분비 조절② fasciculataglucocorticoids ex) Cortisol, Cortisone-> 뇌에서 나오는 호르몬에 의해 합성...2024.05.03· 13페이지 -
A+(직접작성) Vsim 모듈 사례학습 데이비드 카터 PART 1 3페이지
시나리오 사례학습 개요와 학습 후 성찰일지실습기간2021.09.06-09.17학번이름사례모듈명David carter, part1사례개요① 일반적 외모 : 대상자는 178cm, 95kg로 BMI지수 29.98로 비만이다. 흐트러진 채 앉아서 자기 생각을 듣고 있는 누군가에 대해 혼잣말을 하고 있고, 걱정에 사로잡혀 눈을 내리깔고 있다. 옷차림은 얼룩진 청바지, 긴 소매의 회색 스웨터, 격자무늬 셔츠를 입고 있어 나이와 계절에 맞는 옷차림을 하고 있다. 갈색의 긴 머리카락은 뒤로 묶여 있다.② 사고- 사고 형태와 진행 : ‘smegle...2021.12.22· 3페이지 -
(정신간호학)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 (망상장애,단기정신병적장애,조현양상장애,조현정동장애,양성증상,음성증상,전형약물,비전형약물,간호진단,간호중재) 10페이지
[정신건강간호학]REPORT주 제 :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1. 조현병 개요2. 조현병의 종류3. 원인4. 증상5. 약물치료6. 간호중재참고문헌학 교전 공과 목담당교수학 번이 름제출일자1. 조현병 개요조현병(정신분열병)은 10대 후반에서 20대의 나이에 시작하여 만성적 경과를 보이는 정신적으로 혼란된 상태, 현실과 현실이 아닌 것을 구별하는 능력의 약화를 유발하는 뇌 질환을 말한다. 이 질환은 100명 중 1명이 걸리는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 모든 계층의 사람이 걸릴 수 있고 남녀의 발병 빈도는 비슷하다. 조혀병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2023.01.04· 10페이지 -
간호학과 성인간호학실습 만성신부전 CASE STUDY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4개) 5페이지
성인간호학 4 사례 연구 (2)반 학번: 성명:상황 246세 여자환자 성00씨는 30세부터 제2형 당뇨병으로 치료받던 중, 당뇨 합병증으로 2달 전 진행성 만성 신부전 진단을 받고 동정맥루 형성 후 혈액투석을 받고 있다. 지난 주 부터 환자는 식욕부진, 오심, 구토, 빠른 맥박과 심장 두근거림, 소양증 등을 호소하고 있다.환자개요name : 성00gender : femaleage : 46세height : 164cmweight : 60kgreligion : 기독교primary caregiver : 배우자past medical hist...2024.05.09· 5페이지 -
47. 조현병 (schizophrenia) 10페이지
조현병(Schizophrenia)대학교/학과교 과 목담 당 교 수제 출 일제출자: 학년/반/학번이름문헌고찰1. 개요정신분열병은 심한 신경생물학적 부적응 반응으로, 주요 뇌의 기능인 인지, 지각, 감정, 행동, 사회적 활동이나 대인관계 등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정신질환이다. 정신분열병이라는 용어는 ‘정신이 분열 되고 사고 연상이 이완 또는 해리 되는 것’ 이란 의미에서 그리스어에서 유래 되었다.정신분열병의 평생유병률은 전체 인구의 약 1%로 추정되며 세계적으로 거의 동일하다. 발병률에 남녀 차이가 없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입원환자는 남자...2024.07.30· 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