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욕망에 눈이 먼 남자, 심학규 / 설화 심청전의 인물 심학규를 중심으로
본 내용은
"
욕망에 눈이 먼 남자, 심학규 / 설화 심청전의 인물 심학규를 중심으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03
문서 내 토픽
-
1. 아버지로서의 심학규심학규는 아내 곽씨부인이 심청을 낳고 죽자 동냥젖으로 심청을 홀로 길렀다. 눈을 뜨고 싶은 일념으로 화주승에게 공양미 300석을 시주하겠다고 약속을 하여 딸을 잃고 혼자 남았다. 뺑덕어멈이란 여자를 후실로 삼았으나, 남은 재산마저 탕진되어 거지가 되었으며 황성에서 베푼 맹인 잔치에 참석, 왕후가 된 딸을 만나 눈을 떴다. 부원군(府院君)에 봉해져 영화를 누렸다.
-
2.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아버지상'과거의 아버지들은 쉽게 다가가지 못할 어렵고도 높은 존재였다. 아버지가 잘나든 못나든 존경해야 마땅한 존재였다. 하지만 요즘의 부모들의 위상은 과거에 비하면 말로 다 못할 정도로 떨어져있다. '금수저, 흙수저'를 통해 부모님의 재산 정도를 말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는 아버지뿐만 아니라 부모의 위상이 현저히 떨어지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
3. 남자로서의 심학규심학규는 아내 곽씨부인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무분별한 욕망으로 아내도 잃고, 딸도 잃은 것에서 멈추지 못하고 그의 욕망은 또 커지기 시작한다. 이를 전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뺑덕어미와의 관계이다. 심학규는 심청이를 인당수에 떠나보내고 홀로 남아, 죄책감과 허탈감으로 외로워하던 중 성적 욕망이 고개를 들게 된다.
-
4. 심학규를 통해 본 양반에 대한 풍자심청전에서 양반인 심학규는 자신의 지식을 쌓는 학문적인 일에만 지나치게 몰두하여 주위 사람을 돌아보지 못하는 잘못을 저지르게 된다. 자신의 무능함으로 인해 가족들뿐만 아니라 귀덕어미로 하여금 심청이가 가장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함으로써 주변 사람들에게까지도 피해를 준다. 이러한 양반들의 세상 물정 모르고, 자신이 마땅히 해야 할 일을 다름 사람에게 떠넘기는 무책임한 세태를 심학규의 모습을 통해 풍자하고 있다.
-
1. 주제2: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아버지상'이 작품에서 심학규의 아버지상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초기에는 전통적인 유교적 가치관을 강조하며 가부장적 권위를 행사하지만, 점차 그 모습이 변화하게 됩니다. 근대화와 서구화의 영향으로 인해 심학규는 자녀들에게 보다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태도를 보이게 되며, 이는 전통적인 아버지상과 대비되는 새로운 모습입니다. 이를 통해 작가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아버지상 또한 변화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합니다. 이는 가부장제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더불어, 전통과 현대의 갈등을 다루는 작품의 주요 주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
2. 주제4: 심학규를 통해 본 양반에 대한 풍자심학규는 전통적인 양반 계층을 대표하는 인물로 그려지고 있습니다. 그의 가부장적 권위, 엄격한 도덕관, 그리고 서구화에 대한 거부감 등은 양반 계층의 특성을 잘 보여줍니다. 하지만 동시에 그의 모습은 작가의 비판적 시각을 담고 있습니다. 근대화와 서구화의 영향으로 인해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양반 계층의 한계와 모순이 드러나고 있으며, 이는 심학규의 모습을 통해 풍자적으로 표현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작가는 전통적인 양반 계층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이끌어내고자 합니다.
-
욕망에 눈이 먼 남자, 심학규 12페이지
욕망에 눈이 먼 남자, 심학규설화 ‘심청전’의 인물 ‘심학규’를 중심으로< 목 차 >1. 들어가는 말2-1. 심청전 줄거리와 소개2-2. 심청전 주제3-1. 아버지로서의 심학규3-2.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아버지상’4. 남자로서의 심학규5. 심학규를 통해 본 양반에 대한 풍자6. 나가는 말1. 들어가는 말‘엄마이기 전에 여자이다’라는 표현은 누구나 들어봤을 것이다. 억척스러워만 보이는 엄마들이 소녀다운 모습을 보여주거나, 또한 그러한 것을 바랄 때 쓰는 표현이다. 하지만 ‘아빠이기 전에 남자이다’라는 표현은 다소 생소하고, 어쩌면...2020.04.10· 12페이지 -
판소리계 소설/춘향전/흥부전/심청전/토끼전/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춘향전의 형성과 이본/토끼전과 판소리계 우화 소설의 면모 7페이지
일상적 삶의 다채로운 모습: 판소리계 소설목차1.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2. 의 현실 인식과 인물 형상1) 의 형성과 이본2) 의 주제와 현실 인식3) 인물 중의 인물, 춘향4) 에 나타난 표현의 묘미3. 과 향촌의 사회적 갈등1) 의 형성 과정과 역사적 현실성2) 인물 형상과 사회적 갈등3) 의 현대적 의의4. , 삶의 원초적 고통과 제의적 보상1) 의 형성 과정과 주요 이본2) 의 구조와 서사 세계5. 과 판소리계 우화 소설의 면모1) 의 형성 가정과 이본2) 의 구성과 현실 인식3) 이본의 다양한 삽화들1. 판소리와 판소리계...2014.01.21·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