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O 세포 현탁 배양 실험 결과 보고서
본 내용은
"
생물공정실험 결과보고서_Mammalian Suspension Cell Culture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14
문서 내 토픽
-
1. CHO 세포 특성이 실험의 목적은 CHO 세포의 특성을 알아보고, 직접 현탁 배양된 세포의 생존율을 Hemocytometer와 Countess II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입니다. CHO 세포는 포유류 세포주로, 생물공정 실험에 널리 사용되는 세포주입니다. 이 실험을 통해 CHO 세포의 특성과 현탁 배양 시 세포 생존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 현탁 세포 배양실험 방법에 따르면, 먼저 CHO 세포가 배양되어 있던 플레이트의 오래된 배지를 버리고 FBS로 세척하였습니다. 그 후 세포 계수를 위해 EP tube에 옮겨 담았습니다. 세포 계수는 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는데, 세포 현탁액을 Trypan blue로 1/4 희석하여 계수하였습니다.
-
3. 세포 생존율 측정Hemocytometer와 Countess II를 이용하여 CHO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습니다. Trypan blue 염색을 통해 생존 세포와 사멸 세포를 구분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현탁 배양 시 CHO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1. CHO 세포 특성CHO(Chinese Hamster Ovary) 세포는 생물학적 제제 생산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포유류 세포주입니다. CHO 세포는 빠른 증식률, 높은 단백질 생산 능력, 안정적인 유전자 발현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CHO 세포는 단백질 의약품, 백신, 유전자 치료제 등의 생산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CHO 세포는 인간 세포와 유사한 단백질 번역 및 접힘 과정을 거치므로, 생물학적 활성이 높은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CHO 세포의 장점을 활용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향후 생물의약품 개발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현탁 세포 배양현탁 세포 배양은 부유 상태의 세포를 배양하는 기술로, 대량 생산에 적합한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고정화 세포 배양에 비해 공간 활용도가 높고, 배양 조건 제어가 용이하며, 자동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현탁 세포 배양에서는 세포가 부유 상태로 존재하므로, 교반 및 산소 공급 등의 물리적 환경 조절이 중요합니다. 또한 세포 밀도가 높아지면 영양분 고갈, 대사산물 축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배양 조건 최적화가 필요합니다. 현탁 세포 배양 기술은 생물의약품 생산, 세포 치료제 개발, 바이러스 백신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향후 대량 생산 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3. 세포 생존율 측정세포 생존율 측정은 세포 배양 및 생물공학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세포 생존율은 세포의 대사 활성, 막 손상 정도, 세포 수 등을 통해 평가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MTT assay, trypan blue 염색법, LDH 방출 assay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각각 장단점이 있어, 실험 목적과 세포 종류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정확한 세포 생존율 측정은 세포 배양 조건 최적화, 세포 독성 평가, 세포 기능 분석 등에 필수적입니다.
-
Gram staining and microscopy 생물(생명공학)실험 결과보고서 4페이지
결과보고서실험 제목Gram staining and microscopy학과실험일자학번이름조내용1. Explain the following terms.? Gram stain(그람염색법)Gram stain은 그람염색법이라고 하며, 1884년 덴마크의 의사 H. C. J. 그람(1853∼1938)이 고안한 특수 염색법으로 세균의 세포벽의 구조 차이를 이용하여 분류하는 기초적 세균염색법의 일종이다.? Biological Dye(생물학적 염료)Biological dye는 생물학적 염료라고도 하며, 세포를 염색하기 위해 사용하는 염색 방법인 단...2017.04.17· 4페이지 -
[생물학실험1] DNA의 구조 및 추출&DNA 전기영동 결과보고서 7페이지
생물학실험1 결과보고서DNA의 구조의 이해&DNA의 추출실험목적플라스미드라는 염색체 이외의 자가복제 DNA의 분리를 통하여 DNA의 추출 및 정제 방법의 원리를 배우고, DNA의 이화학적 특성을 이해한다.실험이론-DNADNA는 인산(HPO), 데옥시리보스(CHO), 염기로 구성되는 뉴클레오티드의 결합체이다. 1953년 왓슨과 클리크)가 X선 회절 사진을 이용하여 이중 나선 구조를 밝혔다. DNA의 굵기는 2㎚, 1회전 사이의 길이는 3.4㎚인데, 이 사이에는 10쌍의 뉴클레오티드가 들어있다. 또한 DNA는 두 가닥의 폴리뉴클레오티드...2012.12.24·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