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관리 사례 보고서
본 내용은
"
감염관리 사례 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30
문서 내 토픽
  • 1. 중심정맥관 연관 감염 예방
    중심정맥관 삽입은 중증환자 치료에 필요하나 감염의 위험이 높음. 2017년 1분기 응급실 중심정맥관 삽입 시 MBP(maximal sterile barrier precaution) 준수율이 19.4%에 불과했음. 이에 MBP 준수를 위한 Central line bundle 관리를 통해 권역응급의료센터 내의 중심정맥관 삽입 시 MBP 준수율을 70% 이상 달성하고자 함.
  • 2. MBP(maximal sterile barrier precaution) 준수율 향상
    MBP 준수율 향상을 위해 1) 응급의료센터 내 중심정맥 삽입 MBP Kit 구비 및 상시 준비, 2) MBP 방법에 대한 동영상 및 필요성 교육, 3) MBP 수행률이 높은 의료진에게 포상(Positive feedback), 4) 처치실 등의 넓은 공간에서 시행, 5) 중심정맥관 삽입 기록지/환자차트에 MBP 여부 기록 등의 개선 전략을 수립함.
  • 3. CLABSI(Central line associated blood stream infection) 예방
    중심정맥관을 통해 병원체가 혈류로 침투하여 발생하는 CLABSI 예방을 위해 C-line bundle(손위생, MBP, CHG 피부 소독, 시술 부위 선택, C-line daily assessment) 관리를 실시함.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중심정맥관 연관 감염 예방
    중심정맥관 연관 감염 예방은 매우 중요한 의료 안전 문제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의료진의 철저한 손 위생 준수, 무균술 준수, 중심정맥관 삽입 및 관리 프로토콜 준수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교육을 통해 의료진의 인식을 높이고, 감염 발생 시 신속한 대응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 안전을 보장하고 의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MBP(maximal sterile barrier precaution) 준수율 향상
    MBP 준수율 향상은 중심정맥관 관련 감염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의료진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모니터링, 그리고 관리자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또한 MBP 준수를 위한 표준화된 프로토콜 마련과 함께 의료진의 인식 개선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중심정맥관 관련 감염 발생을 줄이고 환자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 3. CLABSI(Central line associated blood stream infection) 예방
    CLABSI 예방은 환자 안전과 의료 비용 절감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의료진의 철저한 손 위생 준수, 무균술 준수, 중심정맥관 삽입 및 관리 프로토콜 준수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교육을 통해 의료진의 인식을 높이고, 감염 발생 시 신속한 대응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CLABSI 발생을 줄이고 환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