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르기아스- 고전읽기점검문제 (1)
본 내용은
"
고르기아스- 고전읽기점검문제 (1)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30
문서 내 토픽
-
1. 연설술의 정의소크라테스는 연설술이 무엇인지 물었고, 고르기아스는 연설술이 말과 관련되며 사람들을 유능하게 만드는 능력이라고 답변했습니다. 소크라테스는 다른 기술들도 말과 관련되지만 연설술과 다르다고 지적했고, 고르기아스는 연설술이 수작업과 관련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르다고 설명했습니다. 결국 고르기아스는 연설술을 '말로 설득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정의했습니다.
-
2. 연설술의 힘고르기아스는 연설술이 모든 힘을 자신의 지배 아래 둘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다른 기술의 전문가와 연설술에 능한 자가 경쟁한다면 연설술을 지닌 자가 더 대단하게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연설술을 다른 이의 평판을 빼앗는데 사용해서는 안된다고 덧붙였습니다.
-
3. 불의를 저지르면서도 행복하다는 주장에 대한 논박폴로스는 '불의를 저지르면서도 행복하다'고 주장했지만, 소크라테스는 이를 논박했습니다. 소크라테스는 불의를 저지르면 행복하지 않다고 주장했고, 불의에 대한 대가를 치르지 않는 것이 더 비참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불의를 저지르는 것이 더 부끄러운 것이라는 점을 폴로스에게 인정시켰고, 결국 폴로스는 자신의 처음 주장을 스스로 반박하게 되었습니다.
-
1. 연설술의 정의연설술은 청중을 설득하고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언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입니다. 연설술은 단순히 말하기 기술을 넘어서 청중의 감정과 이성을 동시에 움직일 수 있는 복합적인 능력입니다. 연설자는 논리적 근거와 함께 청중의 감정을 자극하여 그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청중을 설득하고 행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설술은 단순한 말하기 기술이 아니라 청중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복합적인 의사소통 능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연설술의 힘연설술은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많은 위대한 연설가들은 자신들의 연설을 통해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냈습니다. 연설술은 청중의 감정과 이성을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정치,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연설가는 논리적 근거와 함께 청중의 감정을 자극하여 그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청중의 행동을 유발하고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설술은 단순한 말하기 기술을 넘어서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불의를 저지르면서도 행복하다는 주장에 대한 논박불의를 저지르면서도 행복하다는 주장은 도덕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행복은 단순히 개인적인 만족감이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것입니다. 불의를 저지르면 타인에게 피해를 주게 되고, 이는 결국 개인의 행복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또한 불의한 행동은 법적, 사회적 제재를 받게 되어 결국 개인의 자유와 안녕을 위협하게 됩니다. 따라서 진정한 행복은 정의롭고 선한 행동을 통해서만 달성될 수 있습니다. 불의를 저지르면서도 행복하다는 주장은 도덕적 기준에 어긋나며, 개인과 사회 모두에게 해로운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세종대 서양과철학쟁점과토론 고르기아스 고전읽기점검문제(1) 3페이지
고전읽기 점검 문제(1)전공학번21******성명제출일2021.성적A+확인449a-457c에서 ‘연설술이란 무엇인가?’라는 소크라테스의 물음에 대한 고르기아스의 대답을 단계별로 요약 정리하고, 고르기아스와 소크라테스의 입장을 비교하시오.소크라테스가 고르기아스를 뭐라고 불러야 하는지, 무슨 기술에 정통하고 있는지에 관해 묻자, 고르기아스는 ‘훌륭한 연설가’이며 연설술에 정통하고 있다고 답변한다. 또한, 다른 사람들을 연설가로 만들 수 있냐는 질문에 긍정한다.이후 소크라테스가 직조술은 옷 만드는 일과 관계가 있고, 시가는 작곡에 관계하...2022.06.22· 3페이지 -
세종대 서양과철학쟁점과토론 고르기아스 고전읽기점검문제(2) 3페이지
고전읽기 점검 문제(2)전공학번21******성명제출일2021.성적A+확인1. 482c-492d에서 칼리클레스가 주장하는 ‘자연의 정의’와 이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논박을 설명하고, 누가 타당한지를 논하시오.칼리클레스와 소크라테스의 대화에서 칼리클레스는 법과 자연은 대립된다고 주장한다. 그는 고르기아스가 소크라테스에게 논박 당한 것과 마찬가지로 폴로스도 논박 당했고, 그로 인해 소크라테스가 대중 연설가처럼 연설한다고 말한다. 또한 연설술을 배우려는 자가 정의로운 것이 무엇인지 알지 못한 상태로 왔을 때에 그를 가르칠 것이냐는 물음에 ...2022.06.22· 3페이지 -
세종대 서양과철학쟁점과토론 고르기아스 철학적사고연습(1) 1페이지
철학적 사고연습(1)전공학번21******성명제출일2021.**.**성적A+확인고르기아스적 연설술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논박을 정리 서술하고 소크라테스 논변의 정당성을 분석 검토하시오.(*고전읽기 점검문제 1번 연계 문제, * 457c-461b 부분 검토 문제)소크라테스의 논박을 정리하기에 앞서, 고르기아스는 연설술은 말에 관여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소크라테스는 의술을 예로 들며, 의술이 환자들에 대해서 이해를 수월하게 만드는 것과 같이 기술들은 대부분이 그 기술이 적용되는 말과 관련이 있다는 모순을 찾아냈다. 그리고 고르기아스...2022.06.22· 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