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간호A+ 자료] 응급환자 분류체계(Triage 분류체계) 이 자료 하나로 끝내세요!
본 내용은
"
[응급간호A+ 자료] 응급환자 분류체계(Triage 분류체계) 이 자료 하나로 끝내세요!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30
문서 내 토픽
  • 1. Triage(트리아제) 유래 및 정의
    Triage의 어원은 불어동사 'trier'에서 유래된 것으로 '분류하다', '같은 종류로 묶다'의 의미이다. Triage는 응급상황에서 다수의 환자 가운데 환자들의 질환의 중증도를 평가해 즉각적으로 치료가 필요한지 아닌지를 구분하고 즉각적으로 치료가 필요하다면 치료의 우선순위를 정해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분류체계이다.
  • 2. Triage(트리아제) 목적 및 필요성
    Triage의 목적은 응급 환자의 정확하고 빠른 사정, 치료의 우선순위 결정, 응급실 내 적절한 구역 배정, 환자 치료 흐름 용이, 일반 대중의 응급실 인식 제고이다. 필요성은 응급에 대한 인식 차이, 의료전달체계상 입원 용이성, 비응급 환자 증가로 인한 인적/물적 자원 고갈 등이다.
  • 3. Triage(트리아제) 분류 체계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는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로, 긴급(immediate), 응급(10~60분), 안정(치료 필요), 비응급(<120분), 긴급하지만 응급은 아닌 상태 등 5단계로 분류한다. 기타 분류체계로는 3가지(응급, 긴급, 비응급), 4가지(응급, 긴급, 안정, 비응급), 5가지(응급, 긴급, 안정, 비응급, 이송) 등이 있다.
  • 4. Triage Assessment
    Triage 사정은 5분 이내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환자의 주관적/객관적 자료를 포함한다. 통증 사정 시 통증 사정 도구를 이용하고, 정상적인 해부, 병리, 생리에 기초하여 환자의 응급 정도를 분류한다. 경추부 손상 의심 시 부동, 전염성 질환 의심 시 격리, 정서적 지지 등이 필요하다.
  • 5. 중증도 분류도구
    외상환자의 경우 의식상태와 활력징후를, 비외상환자의 경우 임상적 증상을 이용하여 분류한다. Emergent(혈압저하, 호흡장애, 의식저하 등), Urgent(활력징후 안정, 복부장기 손상 의심 등), Non-emergent(만성질환 증상, 단순 복통 등)로 구분한다. 외상환자의 경우 Trauma Score(TS), Revised Trauma Score(RTS) 등을 활용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Triage(트리아제) 유래 및 정의
    Triage(트리아제)는 의료 분야에서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평가하고 우선순위를 정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프랑스어 'trier'에서 유래했으며, 문자 그대로 '선별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트리아제는 제한된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응급 상황이나 대규모 재난 상황에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트리아제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평가하고 치료 우선순위를 정함으로써 가장 시급한 환자부터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습니다. 이는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Triage(트리아제) 목적 및 필요성
    트리아제의 주요 목적은 제한된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것입니다. 응급 상황이나 대규모 재난 상황에서는 많은 환자가 동시에 발생하지만, 의료진과 의료 시설, 장비 등의 자원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를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트리아제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평가하고 치료 우선순위를 정함으로써 가장 시급한 환자부터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습니다. 이는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트리아제는 의료진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기여합니다.
  • 3. Triage(트리아제) 분류 체계
    트리아제 분류 체계는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평가하고 치료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합니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생명 징후, 출혈 정도, 통증 수준 등을 고려하여 응급도에 따라 환자를 분류합니다. 대표적인 트리아제 분류 체계로는 START(Simple Triage and Rapid Treatment) 방식, ESI(Emergency Severity Index) 방식, CTAS(Canadian Triage and Acuity Scale) 방식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분류 체계는 의료진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환자 치료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표준화된 분류 기준을 통해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의료진 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습니다.
  • 4. Triage Assessment
    트리아제 평가는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치료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위해 의료진은 환자의 생명 징후, 출혈 정도, 통증 수준, 의식 상태 등을 신속하게 평가합니다. 또한 환자의 병력, 투약 정보, 알레르기 반응 등도 함께 고려합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환자를 응급도에 따라 분류하고 치료 우선순위를 결정합니다. 트리아제 평가는 제한된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표준화된 평가 기준을 통해 의료진 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5. 중증도 분류도구
    중증도 분류도구는 트리아제 과정에서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평가하고 치료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중증도 분류도구로는 START(Simple Triage and Rapid Treatment) 방식, ESI(Emergency Severity Index) 방식, CTAS(Canadian Triage and Acuity Scale) 방식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도구들은 환자의 생명 징후, 출혈 정도, 통증 수준, 의식 상태 등을 평가하여 응급도에 따라 환자를 분류합니다. 중증도 분류도구는 제한된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표준화된 평가 기준을 통해 의료진 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