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내과 병동 실습 알짜배기 지식! - 수간호사 선생님 과제
문서 내 토픽
  • 1. 음압 격리실
    음압 격리 병실의 존재는 전염병 확산 방지 등의 이유로 환자를 외부 및 일반 환자들과 분리하여 수용하고 치료함이 목적이다. 병실 내의 기압을 대기압보다 낮게 유지함으로써 병실 내의 공기 또는 에어로졸(aerosol)이나 비말 중에 포함된 병원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한 것이다. 병실 내의 공기는 병원체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HEPA(Highly Efficient Particulate Air filter)필터가 적용된 배기 시설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반면, 비음압구역은 음압구역에 인접하여 감염병 환자 등의 진료를 위한 준비 및 환자 상태 관찰을 위한 간호스테이션 등이 설치된 구역을 말한다.
  • 2. 다제내성균
    다제내성균이란 항생제에 잘 죽지 않아 일명 슈퍼박테리아로 불리는 균을 의미한다. MRSA(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Vancomyc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E(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us), CRE(Carbapenem Resistant Enterobacteriaceae), MDR PA(Multidrug 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MDR AA(Multidrug Resistant Acinetobacter) 등이 대표적인 다제내성균이다. 이들 균은 여러 종류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어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 3. 연명의료
    연명의료는 현대의학으로는 더는 치료할 수 없어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와 말기환자에게 하는 의학적 시술 가운데 치료 효과 없이 임종 과정 기간만을 연장하는 것을 말한다. 연명의료의 종류에는 심폐소생술, 인공호흡기 착용, 혈액투석, 항암제투여, 체외생명 유지술, 수혈, 혈압상승제 투여 등이 있다.
  • 4. 병동 필수 의학약어
    EGD, CFS, SFS, SBS, HCC, LC, ALC, CBD, UGI, TACE, ERCP, ENBD, PTBD, EUS, UBT, ESD, MRCP, HVPG, PEG, PMC, T2DM, AKI, PCA, HF, DNR, CKD, BPH, BST, CPR, PFT, UTI, ABGA, DVT, CAG, PCI, CAOD, VRE, CRE, PD, HD, I/O, AMOC, PMOC, APN 등 다양한 의학 약어가 소개되었다.
  • 5. 고위험약물
    포스텐주, 중외염화나트륨주, 인슐린, 중외염화칼륨주, 중외헤파린나트륨주 등 5가지 고위험 약물의 효능, 부작용, 주의사항, 보관 방법 등이 설명되었다.
  • 6. 응급약물
    에피네프린, 아트로핀, 아미오다론, 리도카인, 마그네슘, 칼륨 글루코네이트 등 6가지 응급 약물의 효능, 부작용, 주의사항, 보관 방법 등이 설명되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음압 격리실
    음압 격리실은 감염병 환자를 안전하게 격리하고 치료하기 위한 중요한 의료 시설입니다. 이 시설은 공기 흐름을 통제하여 병원 내부로 병원체가 유출되는 것을 막고, 환자와 의료진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전염성 높은 감염병 유행 시 음압 격리실은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시설을 갖추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정부와 의료기관의 지속적인 투자와 관심이 필요합니다. 또한 의료진의 전문적인 관리와 운영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음압 격리실은 감염병 대응 능력을 높이는 데 핵심적인 인프라이므로, 앞으로도 더욱 확충되고 효율적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습니다.
  • 2. 다제내성균
    다제내성균은 항생제 내성이 강해 치료가 어려운 감염병균으로, 최근 그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이러한 다제내성균은 주로 병원 내에서 발생하며, 취약한 환자들에게 큰 위협이 됩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항생제 사용 관리, 의료진의 감염 관리 교육, 환경 위생 관리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새로운 항생제 개발과 함께 대체 치료법 연구도 병행되어야 합니다. 다제내성균 문제는 개인과 의료기관, 정부가 함께 협력하여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입니다. 이를 통해 환자 안전을 지키고 공공 보건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 3. 연명의료
    연명의료는 말기 환자의 생명 연장을 위해 제공되는 의료 행위를 말합니다. 이는 환자와 가족의 자기결정권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입니다. 연명의료 결정법 제정으로 환자의 의사를 존중하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지만, 실제 임상 현장에서는 여전히 많은 윤리적 딜레마가 발생합니다. 의료진, 환자, 가족 간의 충분한 소통과 합의가 필요하며,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한 정책적 지원도 요구됩니다. 연명의료 결정 과정에서 환자의 존엄성과 자율성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의료계와 정부, 시민사회가 함께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 4. 병동 필수 의학약어
    병동에서 사용되는 의학약어는 의사소통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약어 사용은 오해와 혼란을 야기할 수 있어 환자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진 간 약어 사용에 대한 표준화와 교육이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주요 약어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여 이해도를 높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의학약어 사용은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이지만, 환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의료기관과 정부 차원의 지속적인 관심과 개선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 5. 고위험약물
    고위험약물은 투여 시 부작용 발생 위험이 높아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약물입니다. 이러한 약물의 부적절한 사용은 환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의료진의 철저한 관리와 환자 교육이 필수적입니다. 의료기관은 고위험약물 사용 지침을 마련하고, 의료진 대상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도 약물 사용법과 부작용 관리 방법을 충분히 설명해야 합니다. 정부 차원에서도 고위험약물 관리 정책을 강화하고, 의료기관의 노력을 지원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고위험약물 사용으로 인한 환자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 6. 응급약물
    응급약물은 생명을 구하는 데 필수적인 약물로, 신속하고 정확한 투여가 매우 중요합니다. 응급실이나 중환자실에서 이러한 약물을 다루는 의료진은 전문성과 숙련도가 높아야 합니다. 또한 응급약물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의료기관은 응급약물 사용 지침을 마련하고, 정기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의료진의 역량을 강화해야 합니다. 정부 차원에서도 응급약물 관리 정책을 수립하고, 의료기관을 지원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응급 상황에서 신속하고 안전한 약물 투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응급약물 관리는 환자 생명 보호를 위한 필수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호흡기내과 병동 실습 알짜배기 지식! - 수간호사 선생님 과제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