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간호학 난산 문헌고찰
본 내용은
"
모성간호학 난산 문헌고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29
문서 내 토픽
  • 1. 난산의 정의 및 분류
    난산은 분만의 다섯 요소(5P)인 만출력, 태아, 산도, 산부의 심리적 문제, 자세 이상으로 인해 분만 진행에 어려움이 있는 것을 말하며 비정상적으로 천천히 진행하는 진통으로 분만이 지연되면서 대부분 심한 통증을 동반한다. 난산의 분류에는 분만 1기의 잠복기 지연, 활성기 지연장애, 활성기 정지장애, 감속기 지연, 분만 2기의 아두 하강 지연 및 정지 등이 있다.
  • 2. 난산의 원인
    난산의 원인에는 태아 측면(거대아, 선진부 및 태향후방후두위, 둔위, 안면위, 태아 발육 이상), 골반 이상(골반 입구, 골반강, 출구의 협소), 연조직 이상(자궁경관, 질, 회음 등의 이상), 산모 측면(자궁 수축력 이상)이 있다.
  • 3. 난산의 증상
    난산의 증상에는 분만 1기의 지연 잠복기, 지연장애, 정지장애와 분만 2기의 태아 아두 하강 지연 및 정지 등이 있다.
  • 4. 난산의 치료
    난산의 치료법은 없으며,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위해 제왕절개술이나 회음부 절개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를 적용한다.
  • 5. 난산에 대한 간호 중재
    간호 중재로는 산부와 남편에게 현재 상태와 예측되는 치료 경과를 자세히 설명하고, 가족 분만을 통한 심리적 지지, 방광 비우기, 체위 변경, 옥시토신 투여 등이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난산의 정의 및 분류
    난산은 정상적인 분만 과정에 비해 지연되거나 어려운 분만을 의미합니다. 난산의 정의와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정의: 산모가 정상적인 진통 과정에도 불구하고 태아가 자궁 밖으로 나오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를 말합니다. 둘째, 분류: 난산은 크게 산모 요인, 태아 요인, 산도 요인 등 3가지로 분류됩니다. 산모 요인에는 자궁 수축 부전, 골반 변형 등이 있고, 태아 요인에는 거대아, 두위 부전 등이 있으며, 산도 요인에는 자궁경부 협착, 골반 골절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난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2. 난산의 원인
    난산의 원인은 크게 산모 요인, 태아 요인, 산도 요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산모 요인으로는 자궁 수축 부전, 골반 변형, 산도 연부 조직 이상 등이 있습니다. 자궁 수축 부전은 자궁 수축력이 약해져 태아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이며, 골반 변형은 골반 구조가 정상적이지 않아 태아가 통과하기 어려운 경우입니다. 둘째, 태아 요인으로는 거대아, 두위 부전, 태아 기형 등이 있습니다. 거대아는 태아의 크기가 너무 커서 분만이 어려운 경우이며, 두위 부전은 태아의 두부 위치가 부적절한 경우입니다. 셋째, 산도 요인으로는 자궁경부 협착, 골반 골절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난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3. 난산의 증상
    난산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진통 시간 지연: 정상적인 진통 과정에 비해 진통 시간이 지연되는 경우입니다. 둘째, 자궁 수축 부전: 자궁 수축력이 약해져 태아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셋째, 태아 곤란증: 태아의 심박동 이상, 태변 배출 등 태아의 스트레스 징후가 나타나는 경우입니다. 넷째, 산모 합병증: 산모에게 산후 출혈, 감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증상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며, 증상의 정도에 따라 난산의 심각성이 달라집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이러한 증상들을 면밀히 관찰하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해야 합니다.
  • 4. 난산의 치료
    난산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사용됩니다. 첫째, 산모 요인에 의한 난산의 경우 자궁 수축 촉진제 투여, 제왕절개술 등이 시행됩니다. 둘째, 태아 요인에 의한 난산의 경우 진공 흡입기 또는 산과용 겸자를 이용한 태아 분만, 제왕절개술 등이 시행됩니다. 셋째, 산도 요인에 의한 난산의 경우 자궁경부 확장술, 골반 골절 정복술 등이 시행됩니다. 이러한 치료 방법들은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고려하여 선택되며, 응급 상황에서는 신속한 의사 결정과 적극적인 처치가 필요합니다. 또한 치료 과정에서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5. 난산에 대한 간호 중재
    난산 환자에 대한 간호 중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산모 상태 모니터링: 산모의 활력징후, 자궁 수축 상태, 질 출혈 등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기록합니다. 둘째, 태아 상태 모니터링: 태아 심박동, 태변 배출 등을 모니터링하여 태아 곤란증 징후를 파악합니다. 셋째, 산모 및 가족 교육: 난산의 원인, 증상, 치료 과정 등을 설명하여 산모와 가족의 이해와 협조를 구합니다. 넷째, 의사소통 및 협력: 의사, 산과 전문의 등 의료진과 긴밀히 협력하여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고 시행합니다. 다섯째, 응급 상황 대응: 산모 또는 태아의 응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여 안전을 확보합니다. 이와 같은 간호 중재를 통해 난산 환자의 예후 향상과 합병증 예방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