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SIM_Amelia sung 모성 사례 간호과정 보고서 - 진단 6개, 간호과정 3개
본 내용은
"
vSIM_Amelia sung 모성 사례 간호과정 보고서 - 진단 6개, 간호과정 3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28
문서 내 토픽
-
1. 어깨 난산아멜리아 성은 임신 39주의 36세 필리핀 여성 G2/P1(조산력)/L1으로 6시간 전 입원했다. 입원 당시 개대 4cm, 소실 100%, 하강정도는 –1, 두정위였다. 2시 30분 경막외 마취가 시작되었고, 3시 30분에 그녀의 막이 파열되었다. 양수는 맑았다. 개대는 6cm였고, 태아의 하강정도는 여전히 –1에 있었다. 두 시간 전, 그녀는 완전히 개대되어 힘주기를 시작했다. 태아 심박수는 120회/min의 기준선이었고, 그녀가 힘주기를 한 이후로 적당한 태아 심박수의 가변성, 가변성 하강이 나타났다. 그녀의 pusing이 지쳤고, 태아의 머리의 하강은 더디게 되었다. 지난 몇 번의 수축에서 태아의 발로가 시작됐다. 그녀는 감속을 위해 비재호흡 마스크로 10L/min으로 O2를 투여 받고, 수유 링거를 IV로 125 mL/hr로 투여받는다. 그녀의 첫 아기는 남자 아이로 3년 3개월 전 체중은 3,912g, 길이는 55cm(22인치)로 질식분만 하였다. 첫 아이가 너무 커서 그녀는 어깨 난산을 경험했었다.
-
1. 어깨 난산어깨 난산은 임신 중 발생할 수 있는 산과적 합병증 중 하나로, 태아의 어깨가 산도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태아의 크기가 크거나 산도가 좁은 경우, 또는 태아의 자세가 부적절한 경우 등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깨 난산은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의료진의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의료진은 산모의 상태와 태아의 상황을 면밀히 관찰하며, 필요한 경우 제왕절개 수술이나 기타 의학적 개입을 통해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야 합니다. 또한 산모와 가족에게 상황을 충분히 설명하고 협력을 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어깨 난산은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상황이므로, 의료진과 산모 간의 긴밀한 소통과 협력이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