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저널 - <트루맛쇼>(MBC)에 대한 감상문
본 내용은
"
명지대_텔레비전연구 과목_평점A_감상문_트루맛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27
문서 내 토픽
  • 1. 가짜 맛집 프로그램 고발
    이 다큐멘터리 영화는 가짜 맛집 프로그램들을 고발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영화 제작팀이 직접 '맛'이라는 분식점을 오픈하고 방송사를 섭외하는 과정을 보여주며, 대한민국의 맛집 방송들의 이면을 낱낱이 파헤친다. 우리가 보던 '찾아라 맛있는 TV', '스타의 맛집', 'VJ특공대' 등의 프로그램이 실제 맛집이 아니었다는 사실을 밝힌다.
  • 2. 외국 맛집 소개 프로그램과의 비교
    외국의 맛집 소개 프로그램의 경우, 음식 비평가가 자신의 신분을 밝히지 않고 몰래 몇 번씩 찾아가 직접 돈을 주고 사먹은 뒤 진짜 맛있으면 그 집을 방송에서 소개한다. 반면 한국의 경우 음식 비평가가 자신의 신분을 밝히고 음식을 얻어먹는 경우가 많다.
  • 3. 일본의 '구루메 반구미' 프로그램
    일본의 경우 우리나라보다 훨씬 이전부터 '구루메 반구미'라고 불리는 먹방이 인기를 끌어왔다. '고독한 미식가'와 같은 프로그램은 음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시청자들에게 더 큰 몰입감을 준다.
  • 4. 한국 맛집 방송의 문제점
    한국의 맛집 방송들은 가짜 음식을 만들고 가짜 손님을 내세워 음식의 맛을 허구로 이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화려한 비주얼에만 집중하고 실제 음식의 맛과 비주얼을 보여주지 않는다.
  • 5. 방송사의 이윤 추구 행태
    방송사들은 '전파'라는 공공재를 이용해 자신들의 배만 불리고 있다. 시청률과 돈에 목숨을 거는 방송 문화가 만연해 있다. 방송 프로그램이 가짜 맛집을 소개하는 이유는 이윤 추구 때문이다.
  • 6. 해결!돈이 보인다 프로그램
    해결!돈이 보인다 프로그램은 가장 흡혈귀 같은 프로그램으로 나왔다. 이 프로그램은 방송 당시 순수하게 쪽박집을 기사회생하게 만들어 주는 방송이라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프랜차이즈를 만들려고 방송 프로그램에 섭외를 요청한 것이었다.
  • 7. 방송사의 가짜 손님 동원
    방송사와 제작진은 가짜 손님들을 동원하여 시청자를 기만한다. 가족, 친인척, 지인 등을 가짜 손님으로 섭외하고 대본을 주어 연기하게 한다.
  • 8. 방송사의 부가수익 창출
    방송 후에는 SBS 공식 지정 사진 제작업체도 있어, 식당에서 중간 사이즈 액자(18만원) 또는 가장 큰 액자(30만원)를 구매하게 한다. 이것도 에쑤베쑤에서 정한 금액이다.
  • 9. 트루맛쇼의 메시지
    트루맛쇼는 TV에서 맛은 맛이 갔고, 방송이 맛이 갔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시청자가 보는 것은 진실이 아니며, 빅브라더가 트루맛쇼를 강요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 10. 방송 문화의 문제점
    방송사들은 '전파'라는 공공재를 사유화하여 자신들의 이윤만을 추구하고 있다. 시청률과 돈에 목숨을 거는 방송 문화가 만연해 있어, 시청자를 기만하는 가짜 맛집 프로그램이 지속되고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가짜 맛집 프로그램 고발
    가짜 맛집 프로그램은 시청자들을 속이는 행위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시청자들의 신뢰를 저버리고 방송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해칠 수 있습니다. 방송사는 시청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가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방송사의 자정 노력과 함께 시청자들의 비판적 시각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2. 외국 맛집 소개 프로그램과의 비교
    외국 맛집 소개 프로그램과 국내 맛집 프로그램을 비교해 보면, 외국 프로그램들이 보다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에 반해 국내 프로그램들은 때때로 과장되거나 편향된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방송사의 이윤 추구 행태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국내 맛집 프로그램들도 보다 공정하고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습니다.
  • 3. 일본의 '구루메 반구미' 프로그램
    일본의 '구루메 반구미' 프로그램은 맛집 정보를 전문적이고 객관적으로 다루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맛집 선정 과정에서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전문가들의 평가를 바탕으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에 비해 국내 맛집 프로그램들은 때때로 과장되거나 편향된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국내 프로그램들도 '구루메 반구미'와 같은 전문성과 객관성을 갖출 필요가 있습니다.
  • 4. 한국 맛집 방송의 문제점
    한국 맛집 방송의 가장 큰 문제점은 방송사의 이윤 추구 행태입니다. 일부 방송사들은 광고주나 협찬업체의 영향력 아래에서 객관적인 정보 전달보다는 편향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가짜 손님 동원, 부가수익 창출 등의 문제도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시청자들의 신뢰를 저버리고 방송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해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송사는 시청자 중심의 정보 제공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 5. 방송사의 이윤 추구 행태
    방송사의 이윤 추구 행태는 맛집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직결됩니다. 일부 방송사들은 광고주나 협찬업체의 영향력 아래에서 객관적인 정보 전달보다는 편향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시청자들의 신뢰를 저버리고 방송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해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송사는 시청자 중심의 정보 제공을 위해 노력해야 하며, 이윤 추구보다는 공공성과 신뢰성 확보에 힘써야 할 것입니다.
  • 6. 해결!돈이 보인다 프로그램
    '해결!돈이 보인다' 프로그램은 방송사의 이윤 추구 행태를 고발하고 시청자들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가짜 맛집 정보, 부가수익 창출 등 방송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청자들에게 보다 공정하고 투명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러한 노력이 지속된다면 방송 문화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7. 방송사의 가짜 손님 동원
    방송사의 가짜 손님 동원 행위는 시청자들을 속이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방송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크게 훼손할 수 있습니다. 방송사는 시청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가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방송사의 자정 노력과 함께 시청자들의 비판적 시각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8. 방송사의 부가수익 창출
    방송사의 부가수익 창출 행태는 시청자들의 신뢰를 저버리고 방송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해칠 수 있습니다. 일부 방송사들은 광고주나 협찬업체의 영향력 아래에서 객관적인 정보 전달보다는 편향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시청자들의 신뢰를 저버리고 방송의 공공성을 해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송사는 시청자 중심의 정보 제공을 위해 노력해야 하며, 이윤 추구보다는 공공성과 신뢰성 확보에 힘써야 할 것입니다.
  • 9. 트루맛쇼의 메시지
    '트루맛쇼'는 가짜 맛집 정보와 방송사의 부적절한 행태를 고발하고, 시청자들에게 보다 공정하고 투명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방송사의 이윤 추구 행태와 가짜 정보 제공 등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시청자들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메시지는 방송 문화의 발전을 위해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10. 방송 문화의 문제점
    한국 방송 문화의 가장 큰 문제점은 방송사의 이윤 추구 행태입니다. 일부 방송사들은 광고주나 협찬업체의 영향력 아래에서 객관적인 정보 전달보다는 편향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시청자들의 신뢰를 저버리고 방송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해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짜 손님 동원, 부가수익 창출 등의 문제도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방송 문화의 발전을 저해하고 시청자들의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송사는 시청자 중심의 정보 제공을 위해 노력해야 하며, 공공성과 신뢰성 확보에 힘써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