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9차 결과보고서
본 내용은
"
[A+]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9차 결과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21
문서 내 토픽
-
1. LPF 실습RC회로를 활용하여 입력전압과 LPF 출력전압의 파형을 비교하고 그래프를 그린 뒤 회로에 인가하는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출력이 감소하는 그래프의 개형을 확인하였다. 설계한 회로에서 사용하는 저항의 크기는 실습 계획서에서 계산한 결과 1kΩ이었으며, 가변저항으로 1.019kΩ을 맞추어 사용하였다. LPF 전압의 경우, 실습 계획서에서 계산한 LPF 출력전압의 값(Vpp)은 0.847V이고, 입력전압의 값(Vpp) 1V이다. 실습 계획서와 실제 실습 결과 그래프의 파형이 일치함을 확인했다.
-
2. LPF 주파수 응답 실습log scale로 LPF 출력전압 측정값과 예상값을 비교하였다. cutoff frequency 부근 이후 출력 전압이 급격히 감소하는 그래프 개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작은 주파수에서 오차가 꽤 크게 발생하다가 cutoff frequency 부근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
3. HPF 실습RL회로를 활용하여 입력전압과 HPF출력전압의 파형을 비교하고 그래프를 그려 보고 회로에 인가하는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출력도 증가하는 그래프의 개형을 확인하였다. 설계한 회로에서 사용하는 저항의 크기는 실습 계획서에서 계산한 결과 1kΩ이었으며, 가변저항으로 1.019kΩ을 맞추어 사용하였다. HPF 전압의 경우 실습 계획서에서 계산한 HPF 출력전압의 값(Vpp)은 0.532V이고, 입력전압의 값(Vpp)은 1V이다.
-
4. HPF 주파수 응답 실습log scale로 HPF출력 전압과 예상 전압 값을 비교하였다. cutoff frequency 부근 이후 출력전압이 급격히 증가하는 그래프 개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차는 주파수가 낮을 때는 작았지만, cutoff frequency 부근 이후 오차가 증가하는 모습이 보였다.
-
1. LPF 실습LPF(Low Pass Filter) 실습은 아날로그 신호 처리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LPF는 입력 신호에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저주파 성분만을 통과시키는 필터로,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이번 실습을 통해 LPF의 동작 원리와 설계 방법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RC 회로를 이용한 LPF 구현 방법과 주파수 응답 특성 분석 방법을 익힐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실제 시스템 설계 시 LPF 설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LPF 주파수 응답 실습LPF 주파수 응답 실습은 LPF의 동작 특성을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이번 실습에서는 RC 회로로 구현된 LPF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학습했습니다. 특히 차단 주파수와 감쇠 특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LPF의 동작 원리와 설계 방법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실습 경험은 향후 실제 시스템 설계 시 LPF 설계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
3. HPF 실습HPF(High Pass Filter) 실습은 LPF 실습과 함께 아날로그 신호 처리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을 다루고 있습니다. HPF는 입력 신호에서 저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고주파 성분만을 통과시키는 필터로,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이번 실습을 통해 HPF의 동작 원리와 설계 방법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RC 회로를 이용한 HPF 구현 방법과 주파수 응답 특성 분석 방법을 익힐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실제 시스템 설계 시 HPF 설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4. HPF 주파수 응답 실습HPF 주파수 응답 실습은 HPF의 동작 특성을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이번 실습에서는 RC 회로로 구현된 HPF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학습했습니다. 특히 차단 주파수와 감쇠 특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HPF의 동작 원리와 설계 방법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실습 경험은 향후 실제 시스템 설계 시 HPF 설계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
A+ 받을 수 있는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실습 8. 인덕터 및 RL회로의 과도응답 7페이지
전기회로설계실습(8번 실습- 결과보고서)소 속담당 교수수업 시간편 성학 번성 명설계실습 8. 인덕터 및 RL회로의 과도응답요약 : 먼저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RL회로의 파형들과 시정수를 측정하였다. EXCEL을 이용하여 Simulation 계산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때 6%의 큰 오차가 발생하였다. 함수발생기의 내부저항과 인덕터의 저항을 고려하여 또한 계산하면 -0.014%가 관측되었다. 이 작은 오차는 가변저항의 조절과 정확하지 않은 인덕터의 값 때문이다. RL회로는 RC회로와 다르게 입력파형의 offset값이 변했을 때 저항전압...2023.09.04· 7페이지 -
[A+]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12차 결과보고서 9페이지
설계실습 12. 수동소자의 고주파특성측정방법의 설계 결과보고서학생이름 : xxx학번 : 20xxxxxx학수번호 : xxxxx-xx실험조의 번호 : x조실험조원의 이름 : xxx, xxx, xxx실험날짜 : 2022-xx-xx제출날짜 : 2022-xx-xx요약:실제 회로에서 사용되는 회로소자(인덕터, 커패시터)의 등가회로를 이해하고 이 소자들이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기 위해 실습을 진행하였다. (2.1) R=10kΩ, C=0.1uF가 직렬로 연결된 회로의 주파수 응답을 측정하기 위해 입력을 2V(peak to p...2023.01.19· 9페이지 -
[A+] 중앙대학교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설계실습 9차 결과보고서 7페이지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결과보고서설계실습 9. 4-bit Adder 회로 설계소속중앙대학교 창의ICT공과대학 전자전기공학부학수번호실험 조x조조원 이름작성자실험날짜2023.11.16제출날짜2023.11.234-4. 설계 실습 내용 및 분석4-4-1. 설계한 전가산기 회로의 구현 (2-level 로직 회로)설계실습계획서에서 그린 2-단계 전가산기 회로를 토글 스위치와 LED를 추가하여 설계 및 구현하여라. 구현된 회로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의 전압을 측정하여 아래의 표에 기술하여라. 측정된 전압이 토글스위치와 LED 값과 ...2024.02.17· 7페이지 -
A+ 중앙대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설계실습(결과)4. 신호 발생기 4페이지
실습 4. 신호발생기(학생이름, 학번, 학수번호, 실험조의 번호, 실험조원의 이름, 실험날짜, 제출날짜)요약: 이번 실험은 Wien bridge 신호발생기를 만들었다. 발진 주파수는 1.95kHz이다. 1.63kHz로 예상한 것과 오차가 있었다.오차의 원인은 발진주파수를 위한 r값을 계산할 때 약 0.98k옴으로 함. 하지만 실험에서는 1k옴으로 설계하였다. 이외에도 커패시터 값 오차로 주파수에 영향을 미친 것이다. vpp=27.6V r1=1.08k옴, r2=18.9k옴이다.다이오드를 추가하면 발진주파수의 최대치는 1.96kHz이다...2022.09.10· 4페이지 -
중앙대 전자전기공학부 전기회로설계실습 2020년 2학기 A+ 자료 설계실습 9. LPF와 HPF 설계 12페이지
전기회로 설계실습 결과보고서설계실습 9. LPF와 HPF 설계1. 서론앞선 설계 실습에서 RC 회로와 RL 회로에 대해 살펴본 것을 바탕으로 주파수에 따른 커패시터와 인덕터의 Low Pass Filter, High Pass Filter 기능을 확인한다. 또한 실험을 통하여 저항, 커패시터, 인덕터의 time delay를 통하여 위상차를 계산해본다.다음과 같은 순서로 실험을 진행하였다.① RC회로의 파형 확인② RC회로에서 커패시터의 LPF 특성 확인③ RL회로의 파형 확인④ RL회로에서 인덕터의 HPF 특성 확인2. 설계 실습 결과...2021.10.31· 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