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기는 과학자로 태어난다 - 백지설에 대한 고찰
본 내용은
"
EBS 특별기획(아기성장보고서) 제2부 아기는 과학자로 태어난다(httphome.ebs.co.kr) 동영상을보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13
문서 내 토픽
-
1. 아기의 선천적 능력영상에 따르면 아기는 결코 백지 상태로 태어나지 않으며, 진화론적 관점에서 일정 기간 동안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아기는 중력의 법칙, 물체의 움직임 등 기본적인 과학 상식을 알고 있으며, 탁월한 모방 능력과 사물의 인과관계를 인지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아기는 수 지식을 가지고 태어나며, 사물을 범주화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이는 아기가 백지 상태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이고 중요한 원리들을 이미 알고 있는 상태로 태어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
2. 백지설에 대한 반론개인적으로 필자는 백지설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신생아가 보이는 다양한 반사 행동, 예를 들어 빨기 반사, 눈 깜빡임 반사, 걷기 반사, 쥐기 반사 등은 부모의 교육이나 경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아기가 가지고 태어난 능력이다. 이러한 능력은 아기가 백지 상태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아기가 가진 생존과 관련된 반사 행동은 인지가 있을 때 가능한 것이므로, 백지설의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
1. 아기의 선천적 능력아기의 선천적 능력은 매우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아기는 태어나면서부터 다양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진화의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기는 태어나자마자 울음소리를 내어 자신의 욕구를 표현할 수 있고, 어머니의 목소리와 얼굴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기는 태어나면서부터 기본적인 감각 능력을 가지고 있어 세상을 인지하고 탐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선천적 능력은 아기가 생존하고 발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능력은 단순히 유전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하게 됩니다. 따라서 아기의 선천적 능력을 이해하고 이를 적절히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2. 백지설에 대한 반론백지설은 아기가 태어날 때 마음이 완전히 비어있는 상태라는 이론입니다. 이에 대한 반론으로는 아기에게도 선천적인 능력과 특성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아기는 태어나면서부터 다양한 감각 능력과 인지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아기는 태어나면서부터 기본적인 성격 특성과 기질을 가지고 있어 이후 발달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아기의 마음이 완전히 비어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물론 아기의 발달에는 환경적 요인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아기 자체가 가지고 있는 선천적 특성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백지설에 대한 반론으로 아기의 선천적 능력과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