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성인의 발달과정에 대한 에릭슨 갈리건 혜비거스트의 견해
본 내용은
"
초기성인의 발달과정에 대한 에릭슨 갈리건 혜비거스트의 견해를 서술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17
문서 내 토픽
  • 1. 에릭슨의 견해
    에릭슨(E. Erikson)의 심리사회학적 발달이론에 따르면, 초기 성인의 시기(19~35세)에는 배우자를 선택하고 친밀감을 발전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업이다. 자신에 대한 신뢰감이 없으면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기 어려우며, 친밀감을 형성하지 못하면 고립감을 느끼게 된다. 이 시기에는 부모로부터 독립하여 자신의 일을 찾고 배우자를 선택하여 성숙하고 책임감 있는 성인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 2. 길리건의 견해
    길리건(Gilligan, 1984)은 성인 초기 시기에 남녀 간의 사회화 과정이 다르다고 보았다. 남성들은 부모에게서 독립하려는 독립성이 뚜렷하게 나타나지만, 여성은 자율적인 존재로서의 발달보다는 타인과의 관계성을 중시한다. 이에 따라 여성들은 겸손, 남성들은 자신감이라는 덕목을 소지하게 된다.
  • 3. 헤비거스트의 견해
    헤비거스트(Havighurst, 1972)는 에릭슨의 영향을 받아 발달과업(developmetal tasks) 개념을 주장했다. 초기 성인의 발달과업은 부부관계를 통하여 가족의 과업을 달성하고 직업 영역에서 경력을 쌓는 것이다. 정신적으로는 직장생활에 필요한 기능을 습득하고 사회적 역할과 기술을 학습하며, 사회적으로는 배우자를 선택하고 가정을 이루며 동료집단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강조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에릭슨의 견해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은 개인의 성장과 발달 과정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의 이론은 개인이 각 발달 단계에서 겪는 위기와 과제를 잘 보여주며, 이를 통해 개인의 성장과 발달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특히 자아정체성 형성 단계에서의 위기와 과제는 청소년기 개인의 발달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이를 잘 극복하는 것이 이후 발달 단계에서의 성공적인 적응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에릭슨의 이론은 개인의 발달 과정을 이해하고 지원하는 데 있어 매우 유용한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2. 길리건의 견해
    길리건의 도덕성 발달 이론은 기존의 콜버그의 이론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제시하며, 여성의 도덕성 발달 과정을 보다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길리건은 콜버그의 이론이 남성 중심적이며 여성의 도덕성 발달 과정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고 지적하였습니다. 그녀의 이론은 여성의 도덕성 발달이 관계성과 배려에 기반하고 있음을 강조하며, 이는 기존의 남성 중심적 이론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들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길리건의 이론은 도덕성 발달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를 인정하고 이를 반영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3. 헤비거스트의 견해
    헤비거스트의 발달과업 이론은 개인의 발달 과정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의 이론은 각 발달 단계에서 개인이 달성해야 할 과업들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개인의 성장과 발달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특히 청소년기의 발달과업들은 이후 성인기 발달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 시기의 과업 달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헤비거스트의 이론은 발달 과정에서의 개인차를 인정하며, 이에 따른 개별화된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헤비거스트의 이론은 개인의 발달 과정을 이해하고 지원하는 데 있어 매우 유용한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