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양급여비용 청구시 상병명 및 상병분류기호 기재방법
본 내용은
"
요양급여비용 청구시 상병명 및 상병분류기호 기재방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04
문서 내 토픽
-
1. 상병분류 (질병분류)상병분류(질병분류)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상병분류기호 기재 방법, 상병(질병) 코드 기재 지침, 질병(상병) 코드 사용의 일반 원칙 등을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
2. 진단명 (Dx) 또는 상병명진단명(Dx) 또는 상병명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주진단의 정의, 주진단 선정 원칙, 기타진단의 정의, 기타진단 선정 원칙 등을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
3. 상병(질병) 분류번호 찾기상병(질병) 분류번호를 찾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색인표의 용어 구성, 환자색인, 의사색인, 질병·수술색인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
4. 상병(질병) 코드 기재 지침상병(질병) 코드 기재 지침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보험 청구 시 기재하는 질병코드(상병 분류기호) 사용 방법, 질병(상병) 코드 사용의 일반 원칙 등을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
1. 상병분류 (질병분류)상병분류 또는 질병분류는 의료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질병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표준화된 분류 체계가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상병분류 체계로는 ICD(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가 있습니다. ICD는 질병, 장애, 증상 등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의료 정보의 표준화와 국제적 비교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를 통해 질병 예방, 관리, 연구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상병분류는 의료 서비스의 질 향상과 효율적인 자원 배분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관심과 개선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2. 진단명 (Dx) 또는 상병명진단명 또는 상병명은 환자의 질병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정보입니다. 정확한 진단명 기재는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진단명은 ICD 코드와 연계되어 있어 질병 통계, 보험 청구, 의료 정보 관리 등에 활용됩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환자의 증상과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확한 진단명을 기재해야 합니다. 또한 진단명 기재 시 표준화된 용어와 약어 사용, 오기 방지 등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확한 진단명 기재는 환자 진료의 질 향상과 의료 정보의 신뢰성 제고에 기여할 것입니다.
-
3. 상병(질병) 분류번호 찾기상병(질병) 분류번호 찾기는 의료 현장에서 매우 중요한 작업입니다. 정확한 분류번호 확인은 적절한 진단명 기재, 보험 청구, 의료 통계 작성 등에 필수적입니다. ICD 코드북이나 온라인 검색 도구를 활용하여 환자의 증상과 검사 결과에 해당하는 분류번호를 찾아야 합니다. 이때 세부 분류 체계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최신 버전의 ICD 코드를 사용하여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병(질병) 분류번호 찾기는 의료 정보의 표준화와 신뢰성 제고에 기여할 것입니다.
-
4. 상병(질병) 코드 기재 지침상병(질병) 코드 기재 지침은 의료 기관에서 정확한 코드 사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입니다. 이 지침에는 코드 선택, 기재 방법, 주/부 상병 구분 등이 포함됩니다. 의료진은 이 지침을 숙지하여 상병 코드를 정확히 기재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적절한 진료, 보험 청구, 의료 통계 작성 등이 가능합니다. 또한 상병 코드 기재 지침은 의료 기관 간 코드 사용의 일관성을 높여 의료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병(질병) 코드 기재 지침은 의료 서비스의 질 향상과 효율적인 의료 자원 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
2024년도 보험심사관리자(보험심사간호사) 문제 정리(4) - 바뀐 법 적용 8페이지
..FILE:mimetypeapplication/hwp+zip..FILE:version.xml..FILE:Contents/header.xml^1.^2.^3)^4)(^5)(^6)^7^8^1.^2.^3)^4)(^5)(^6)^7^8..FILE:BinData/image1.bmp..FILE:BinData/image2.bmp..FILE:BinData/image3.bmp..FILE:Contents/section0.xml가. 의사업무량 상대가치나. 진료비용 상대가치다. 의료사고위험도 상대가치라. 간호비용 상대가치상대가치점수(RBRVS)는 의료서비...2024.08.28· 8페이지 -
행위별 수가제와 포괄수가제 청구방법 5페이지
행위별 수가제와 포괄수가제의 청구방법1.행위별 수가제와 포괄수가제란?행위별 수가제란 가장 일반적이고, 시장원리에 근접한 진료비 지불 보상제도로서, 우리나라의 진료비는 대부분 행위별 수가제로 계산된다.의료서비스 공급자들은 환자들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게 되고, 진료에 소요되는 약제 또는 재료비를 별도로 산정, 의료인이 제공하는 진료행위 하나하나마다 항목별로 가격을 책정하여 진료비를 지불하는 방식이다.행위별 수가제는 의료인이 제공하는 시술 내용에 따라 값을 정하여 의료비를 지급하기 때문에, 전문의의 진료방식에 적합하다. 즉, 위중하거나...2014.04.24· 5페이지 -
10장 진단명별 환자군 71페이지
사회보장과 건강보험- * -사 회보장과 의료보험DRG 개요 DRG 포괄수가제 관련 법령 DRG 구조 및 분류 진료비 DRG 진료비 청구 신포괄지불제도10장 진단명별 환자군1) DRG 지불제도의 개념DRG 개요DRG(Diagnosis Related Groups)란 미국 예일대학교 연구팀이 의료비 상승으로 국가재정 부담에 따른 의료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하여 개발한 입원환자 중심의 분류체계이다. 즉, 입원환자들을 일정한 기준에 의하여 일정한 수의 환자군(患者群)으로 분류하는 방법이다. DRG는 진단과 치료가 의학적으로 관련이 있고 재원기...2014.06.04· 7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