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왕절개(cesarean section, C/S) 문헌고찰
본 내용은
"
모성간호학 제왕절개(cesarean section, C/S) 문헌고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16
문서 내 토픽
  • 1. 둔위(breech presentation)
    둔위는 태아의 둔부가 자궁경부를 효과적으로 개대시키지 못하여 난산의 흔한 원인이 되며 제왕절개의 적응증이 된다. 둔위는 산부와 태아 모두에게 위험을 증가시키며, 태아의 둔부가 골반강내에 잘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양막이 조기파열될 수 있고 제대탈출 혹은 감염의 위험이 증가된다. 또한 둔위는 태아의 둔부가 아두만큼 경관을 효과적으로 개대시킬 수 없기 때문에 분만이 지연되고 비효율적이다. 둔위분만을 예방하기 위해 임신 32주나 36주경에 두위 바깥태아머리회전(ecxternal cephalic version, ECV)을 시도하여 태위를 교정하거나 제왕절개술을 시행할 수 있다.
  • 2. 제왕절개분만(cesarean section delivery)
    제왕절개분만은 산부의 복벽과 자궁벽을 절개하여 태아를 만출 시키는 외과적 술법으로, 산부와 태아의 안녕이 위협받을 때와 이러한 위협이 분만지연으로 인해 고조될 때, 질 분만이 산부나 태아에게 위험이 있을 때 태아를 신속히 만출 시킬 수 있다. 제왕절개분만의 가장 흔한 4가지 적응증은 선행 제왕절개술, 난산(dystocia), 둔위(breech presentation), 태아곤란증이다. 제왕절개분만 수술과정에는 복부절개, 자궁절개, 태아분만, 태반 만출 및 자궁 수축 확인, 자궁절개선 봉합, 복막 및 복벽 봉합 등의 단계가 포함된다. 마취방법으로는 전신마취, 척추마취, 경막외 마취 등이 사용된다. 제왕절개분만 후 간호중재로는 수술 전 교육과 지지 제공, 수술 중 산부간호, 출산 직후 신생아 간호, 수술 후 산모간호 등이 필요하다.
  • 3. 제왕절개분만의 부작용
    제왕절개 분만은 질식 분만에 비하여 출혈이 많아 과다출혈의 위험이 있다. 또한 자궁 무력증, 방광 및 장의 손상, 감염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과다출혈 시 수혈이나 자궁 절제술, 자궁동맥 색전술이 필요할 수 있으며, 방광이나 장 손상 시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감염의 경우 항생제 치료나 재수술이 필요하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둔위(breech presentation)
    둔위 분만은 태아의 엉덩이나 다리가 먼저 나오는 분만 형태로, 일반적인 두정위 분만과 달리 분만 과정이 복잡하고 위험할 수 있습니다. 둔위 분만의 경우 태아의 머리가 마지막에 나오기 때문에 태아의 머리가 걸려 분만이 지연되거나 태아에게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태반 조기 박리, 태아 가사, 산모의 자궁 파열 등의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위해 전문의의 면밀한 관찰과 적절한 분만 방법 선택이 중요합니다. 둔위 분만의 경우 제왕절개술이 일반적으로 권장되며, 자연 분만이 필요한 경우에도 숙련된 의료진의 도움이 필수적입니다.
  • 2. 제왕절개분만(cesarean section delivery)
    제왕절개분만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필요한 경우 시행되는 수술입니다. 자연 분만이 어렵거나 위험한 경우, 또는 산모나 태아의 상태가 위험한 경우 제왕절개술이 선택될 수 있습니다. 제왕절개술은 산모의 복부와 자궁을 절개하여 태아를 꺼내는 수술로, 출혈, 감염, 장 손상 등의 위험이 있지만 숙련된 의료진에 의해 시행된다면 산모와 태아 모두의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최소 침습 수술 기법의 발달로 합병증 발생률이 감소하고 있지만, 제왕절개술은 여전히 자연 분만에 비해 위험성이 높은 수술이므로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시행되어야 합니다.
  • 3. 제왕절개분만의 부작용
    제왕절개분만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위해 필요한 경우 시행되는 수술이지만,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부작용으로는 출혈, 감염, 장 손상, 자궁 파열, 혈전 형성 등이 있습니다. 출혈은 가장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로, 수술 중 또는 수술 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감염은 수술 부위, 자궁, 방광 등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패혈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장 손상은 수술 중 발생할 수 있으며, 자궁 파열은 향후 임신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합병증입니다. 또한 수술 후 혈전 형성으로 인한 폐색전증, 심부 정맥 혈전증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작용들은 숙련된 의료진의 세심한 관리와 산모의 적극적인 협조를 통해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