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수지관공사(KEC 232.11)
본 내용은
"
합성수지관공사(KEC 232.11)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16
문서 내 토픽
-
1. 합성수지관의 종류합성수지관에는 경질 비닐전선관(일반형, 내충격용), 파상형 경질 폴리에틸렌전선관(FEP),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CD관, PF관) 등이 있다. FEP관은 지중 매설배관용으로 사용되며 전선 인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
2. 합성수지관 시설 조건합성수지관 시설 시 전선은 절연전선이어야 하고 연선이어야 한다. 전선 접속은 아웃렛 박스 등에서 해야 하며, 중량물의 압력 또는 기계적 충격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중천장 내에는 시설할 수 없다.
-
3. 합성수지관 및 부속품 선정합성수지관 공사에는 KS 규격 자재를 사용해야 하며, 전선 인입 및 교체 시 피복 손상이 없도록 관 끝부분과 안쪽면을 매끄럽게 처리해야 한다. 관의 두께는 2mm 이상이어야 한다.
-
4. 합성수지관 굵기 선정합성수지관 내부 단면적의 1/3 이하가 되도록 전선 단면적을 선정해야 한다. 합성수지제 휨(가요)관(CD관)의 경우 전선 수량에 따른 관 굵기 선정 기준이 제시되어 있다.
-
5. 합성수지관 시설 기준합성수지관 상호간 및 박스와의 접속 깊이, 지지점 간격, 습기가 많은 장소의 방습 조치, 금속제 박스 접속 시 접지 등 합성수지관 시설 시 준수해야 할 기준이 상세히 규정되어 있다.
-
1. 합성수지관의 종류합성수지관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특성과 장단점이 있습니다. 주요 종류로는 PVC(폴리염화비닐),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등이 있습니다. PVC는 내화학성이 좋고 저렴하지만 유해물질 방출이 우려되며, PE는 내충격성이 좋고 가벼우나 내열성이 낮습니다. PP는 내화학성과 내열성이 우수하지만 가격이 높고, ABS는 내충격성과 내열성이 좋지만 내화학성이 낮습니다. 이처럼 각 재질마다 장단점이 있어 용도와 환경에 따라 적절한 재질을 선택해야 합니다.
-
2. 합성수지관 시설 조건합성수지관 시설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관의 재질, 두께, 직경 등 물리적 특성이 용도와 환경에 적합해야 합니다. 둘째, 관 연결부의 밀폐성과 내압성이 확보되어야 합니다. 셋째, 관 지지대와 고정 방식이 안정적이어야 합니다. 넷째, 관 보호를 위한 피복 및 보온 조치가 필요합니다. 다섯째, 관 내부 유체의 흐름과 압력 변화를 고려해야 합니다. 여섯째, 관 주변 환경에 따른 내식성, 내열성, 내한성 등이 확보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합성수지관 시설을 설계하고 시공해야 합니다.
-
3. 합성수지관 및 부속품 선정합성수지관 및 부속품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관의 용도와 사용 환경에 적합한 재질을 선택해야 합니다. 둘째, 관의 압력, 온도, 유량 등 운전 조건에 부합하는 규격을 선정해야 합니다. 셋째, 관 연결부의 밀폐성과 내구성이 확보되도록 부속품을 선정해야 합니다. 넷째, 관 지지대와 고정 방식이 안정적이어야 합니다. 다섯째, 관 보호를 위한 피복 및 보온 재료를 선정해야 합니다. 여섯째, 관 내부 유체의 흐름과 압력 변화를 고려해야 합니다. 일곱째, 관 주변 환경에 따른 내식성, 내열성, 내한성 등이 확보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합성수지관 및 부속품을 선정해야 합니다.
-
4. 합성수지관 굵기 선정합성수지관 굵기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관의 용도와 사용 환경에 따른 유체 유량과 압력을 고려해야 합니다. 둘째, 관의 재질과 두께에 따른 강도와 내압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셋째, 관 지지대와 고정 방식의 안정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넷째, 관 내부 유체의 흐름과 압력 변화를 고려해야 합니다. 다섯째, 관 주변 환경에 따른 내식성, 내열성, 내한성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여섯째, 관 설치 공간과 배관 레이아웃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합성수지관의 적절한 굵기를 선정해야 합니다.
-
5. 합성수지관 시설 기준합성수지관 시설 기준은 관의 용도와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주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관의 재질, 두께, 직경 등 물리적 특성이 용도와 환경에 적합해야 합니다. 둘째, 관 연결부의 밀폐성과 내압성이 확보되어야 합니다. 셋째, 관 지지대와 고정 방식이 안정적이어야 합니다. 넷째, 관 보호를 위한 피복 및 보온 조치가 필요합니다. 다섯째, 관 내부 유체의 흐름과 압력 변화를 고려해야 합니다. 여섯째, 관 주변 환경에 따른 내식성, 내열성, 내한성 등이 확보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기준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합성수지관 시설을 설계하고 시공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