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식이법(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의13)의 문제점과 개선
본 내용은
"
민식이법(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의13)의 문제점과 개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15
문서 내 토픽
  • 1. 민식이법의 주요 내용
    민식이법은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5조의13과 도로교통법 제12조 제4항, 제5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가법 제5조의13은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어린이를 사망 또는 상해에 이르게 한 운전자를 가중처벌하는 내용이며, 도로교통법 개정으로 어린이 보호구역에 CCTV 설치와 안전시설 설치가 의무화되었다.
  • 2. 민식이법의 문제점
    민식이법의 문제점으로는 ① 어린이 보호구역의 24시간 365일 운영, ② 운전자의 주의의무 위반에 대한 과도한 처벌, ③ 13세 미만 어린이 외 자전거, 전동 퀵보드 등을 탄 어린이에 대한 적용 문제 등이 있다. 이는 과잉금지 원칙 위반 소지가 있다.
  • 3. 민식이법의 개선 방안
    민식이법 개선 방안으로는 ① 어린이 보호구역의 시간대 지정, ② 자전거, 전동 퀵보드 탑승 어린이에 대한 제한적 적용, ③ 처벌 수위 정비, ④ 어린이 안전교통표지 설치 강화 등이 제시되고 있다. 이를 통해 입법 목적 달성과 운전자의 과도한 부담 완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민식이법의 주요 내용
    민식이법은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로 인한 어린이 사망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2019년 12월 도입된 법률입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어린이 보호구역 내 속도 제한 시속 30km 이하 의무화, 어린이 보호구역 내 주정차 금지, 어린이 보호구역 내 무단 횡단 금지, 어린이 보호구역 내 운전자의 안전 운전 의무 등이 있습니다. 또한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한 가중 처벌 규정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어린이 보호구역 내 교통사고 예방과 어린이 안전 확보를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 2. 민식이법의 문제점
    민식이법의 주요 문제점으로는 첫째, 어린이 보호구역 지정 기준이 모호하고 지자체마다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둘째, 어린이 보호구역 내 속도 제한 시속 30km 이하 의무화에 따른 운전자들의 불편과 민원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셋째, 어린이 보호구역 내 주정차 금지 규정으로 인해 주민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넷째, 어린이 보호구역 내 무단 횡단 금지 규정이 실효성이 낮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다섯째, 어린이 보호구역 내 사고에 대한 가중 처벌 규정이 실제 사고 예방에 효과적이지 않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민식이법의 실효성과 현실성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 3. 민식이법의 개선 방안
    민식이법의 개선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첫째, 어린이 보호구역 지정 기준을 명확히 하고 지자체 간 일관성 있게 적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둘째, 어린이 보호구역 내 속도 제한 시속 30km 이하 의무화에 대한 운전자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상황에 따른 유동적 속도 제한 등의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셋째, 어린이 보호구역 내 주정차 금지 규정에 대한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일정 시간대 주정차 허용 등의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넷째, 어린이 보호구역 내 무단 횡단 금지 규정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보행자 안전 시설 확충 등의 보완책이 필요합니다. 다섯째, 어린이 보호구역 내 사고에 대한 가중 처벌 규정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운전자 교육 강화, 단속 강화 등의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개선 방안들을 통해 민식이법의 실효성과 현실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