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맨프럼어스1이라는 영화와 https://m.youtube.com/watch?v=mnEfyTBgwDs&feature=youtu.be 이 영상을 보고
본 내용은
"
맨프럼어스1이라는 영화와 httpsm.youtube.comwatchv=mnEfyTBgwDs&feature=youtu.be 이 영상을 보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13
문서 내 토픽
-
1. 불가지론두 작품을 통해 나는 '불가지론'의 개념을 다시 한 번 상기해 보게 되었다. 불가지론은 '이 세상에 신이 존재하는지 반대로 하지 않는지에 관해 결정할 수 있는 충분한 증거가 없다.'라는 의미이다. 즉, 불가지론은 몇몇의 명제, 대개 신의 존재에 대한 진위 여부를 인간이 완벽하게는 알 수 없다고 보는 철학적인 관점이다. 아울러 사물이 지닌 본질은 인간은 인식할 수 없다는 철학적 관점이기도 하다.
-
2. 음모론'시대정신'또한 존의 중요 대사인 '증명할 방법도, 반증할 방법도 없기 때문에 믿든 말든 그것은 당신의 자유이다.'를 떠올리게 하였다. 사람은 전 생애에서 이 말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고 생각한다. 특히 현대사회와 같은 시대적 배경 속에서 살고 있는 우리는 이 말로부터 결코 해방될 수 없을 것이다. 어떤 일을 어떻게 수용하고, 그에 대해 소감을 느끼고 또 이해하는 가는 결국 자신에게 달린 문제인 것이다. 따지고 보면 세상에서 벌어지는 수 없이 많은 일들 가운데 많은 수가 증명할 방법도 반증할 방법도 없다.
-
3. 종교영화 속 존이 부처의 가르침을 중동에 전하려다가 실패하고 예수가 되었다는 내용은 기독교인들에게 큰 거부감을 주었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영화 속 에디스 만큼은 아니겠지만, 그들의 공분을 사기에 충분한 내용이었다고 생각한다. 사람은 자신이 알고 믿고 또 숭배하는 존재의 가치가 훼손당하는 순간을 참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것이 자신의 세계를 훼손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
1. 불가지론불가지론은 우리가 세계와 우주에 대해 완전히 알 수 없다는 철학적 입장입니다. 이는 우리의 인식 능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절대적인 진리를 알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불가지론자들은 우리가 관찰할 수 있는 현상들을 바탕으로 추론할 수 있지만, 그 이상의 근본적인 진리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고 믿습니다. 이러한 입장은 과학적 탐구에 있어서 겸손함과 개방성을 요구하며,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 모르는 것의 경계를 인정하게 합니다. 불가지론은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동시에 우리가 계속해서 탐구하고 배워나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
2. 음모론음모론은 복잡한 사회 현상이나 역사적 사건들을 단순화하여 특정 개인이나 집단의 은밀한 계획에 의해 조종되고 있다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주장은 때로는 합리적인 근거 없이 이루어지며, 사실관계를 왜곡하거나 과장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음모론은 불확실성과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사회적 갈등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때로는 음모론이 실제로 존재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를 무시하거나 배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객관적인 사실에 기반하여 균형 잡힌 시각으로 접근하는 것입니다. 음모론에 대한 비판적 사고와 함께 사회 현상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합니다.
-
3. 종교종교는 인류 역사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종교는 삶의 의미와 목적을 제시하고, 윤리적 가치관을 형성하며,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 등 개인과 사회에 많은 영향을 미쳐왔습니다. 그러나 종교는 때로는 갈등과 차별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종교 간 이해와 존중이 부족하거나, 종교가 정치적으로 악용되는 경우 등이 그 예입니다. 따라서 종교의 긍정적인 측면을 인정하면서도, 종교 간 대화와 이해의 증진, 종교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합니다. 종교는 개인과 사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성찰이 요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