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원리 ) 다음은 (주)미래의 말 재무상태표와 포괄손익계산서 구성요소
본 내용은
"
회계원리 ) 다음은 (주)미래의 말 재무상태표와 포괄손익계산서 구성요소이다. (물음 1) 자산총계와 부채총계를 계산하시오. (물음 2) 자본총계 및 이익잉여금을 추정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12
문서 내 토픽
  • 1. 자산총계 및 부채총계 계산
    자산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유동자산은 현금 및 현금성자산, 단기매매금융자산, 매출채권, 미수금, 단기대여금, 선급비용, 미수수익, 상품 등으로 구성되고, 비유동자산은 부동산, 장기투자금융자산, 토지, 건물, 기계장치, 비품, 영업권 등으로 구성됩니다. 부채는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유동부채는 매입채무, 미지급금, 선수수익, 미지급비용, 단기차입금이고, 장기차입금은 비유동부채에 해당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자산총계는 2,348,000원, 부채총계는 1,230,000원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 2. 자본총계 및 이익잉여금 추정
    자본은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값으로, 납입자본과 적립금(이익잉여금)으로 구분됩니다. 이익잉여금은 회사가 벌어들인 순이익 중 배당의 형태로 주주에게 지급하지 않고 기업 내부에 남아있는 금액입니다. 포괄손익계산서 구성요소를 통해 영업이익을 131,000원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여기에 영업외이익 50,000원(배당금수익)을 더하면 이익잉여금은 181,000원이 됩니다. 따라서 자본총계는 자본금 300,000원과 이익잉여금 181,000원을 더한 612,000원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자산총계 및 부채총계 계산
    자산총계와 부채총계는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자산총계는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모든 자산의 합계를 의미하며, 부채총계는 기업이 부담하고 있는 모든 부채의 합계를 의미합니다. 이 두 지표는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자산총계와 부채총계를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재무제표를 면밀히 분석하고, 각 항목의 특성을 이해해야 합니다. 또한 이 두 지표는 기업의 자본구조와 재무위험을 파악하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산총계와 부채총계의 정확한 계산은 기업의 재무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필수적입니다.
  • 2. 자본총계 및 이익잉여금 추정
    자본총계와 이익잉여금은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자본총계는 기업의 순자산 규모를 나타내며, 이익잉여금은 기업이 과거에 창출한 이익 중 배당금을 제외하고 내부에 유보된 금액을 의미합니다. 이 두 지표는 기업의 재무건전성, 성장성, 수익성 등을 평가하는 데 활용됩니다. 자본총계와 이익잉여금을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재무제표를 면밀히 분석하고, 각 항목의 특성을 이해해야 합니다. 또한 이 두 지표는 기업의 배당정책, 투자계획, 재무구조 등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고려하여 추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자본총계와 이익잉여금의 정확한 추정은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필수적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