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을 소재로 한 작품(소설, 드라마, 영화 등)에 대한 감상문 작성
본 내용은
"
질병을 소재로 한 작품(소설, 드라마, 영화 등)에 대한 감상문 작성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12
문서 내 토픽
  • 1. 좀비딸에 나타나는 좀비의 의의
    애니메이션 '좀비딸'에 등장하는 좀비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좀비의 평범한 구조와 다르지 않다. 하지만 K-좀비물로 불리는 장르의 대표적인 특징은 거시적인 대응과 방어보다는 미시적인 개인의 이야기로 이어나간다는 점이다. 이는 주체와 타자의 관점에서, 권력자의 입장이 아닌 타자의 이야기로 이어나간다는 점이 매우 큰 예술적 성과로 작용한다. 좀비는 결국 우리 사회가 죽이고 가둬야할 사회적 질병이 아닌, 거두고 보살펴 극복해야하는 하나의 사회적 현상으로 봐야 한다.
  • 2. 좀비는 누구나 될 수 있다
    작중의 스토리는 대한민국 정부가 좀비바이러스에 대한 완벽 방역을 선포하고, 모든 좀비를 군대를 동원해 소탕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주인공은 좀비바이러스에 걸린 자신의 딸을 절대로 신고할 수가 없다. 이야기는 결말로 갈수록 좀비바이러스에 걸린 딸을 지키기 어려운 상황으로 발전하고 결국 이야기 내의 좀비특별법으로 인해 자신의 딸이 위험에 처하는 순간을 맞이하게 된다. 이때 주인공은 자신의 딸에게 일부러 물리고 본인이 좀비가 되어 딸을 지키기 위해 맞서게 된다. 이를 통해 좀비는 폭력적으로 억압하고 죽여 없애야 하는 존재가 아니라, 아픈 질병에 걸린 약자 혹은 소수자이며 누군가의 아빠, 딸, 혹은 부모님이었던 것을 깨닫게 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좀비딸에 나타나는 좀비의 의의
    좀비 영화에서 좀비는 단순한 공포의 대상이 아니라 인간 사회의 문제를 반영하는 상징적 존재로 볼 수 있습니다. 영화 '좀비딸'에서 좀비는 가족 구성원 간의 갈등과 소통의 부재를 보여줍니다. 좀비로 변한 딸은 가족들과 진정한 소통을 하지 못하고 결국 가족과 단절되는데, 이는 현대 사회에서 가족 간의 유대감이 점점 약해지고 있는 현상을 반영합니다. 또한 좀비는 인간 내면의 어두운 면모를 상징하기도 합니다. 가족들이 좀비 딸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거부하는 모습은 우리 사회가 타자를 배제하고 차별하는 태도를 비판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결국 좀비는 단순한 공포의 대상이 아니라 인간 사회의 문제를 성찰하게 하는 상징적 존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좀비는 누구나 될 수 있다
    좀비 영화에서 좀비는 누구나 될 수 있는 존재로 표현됩니다. 좀비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평범한 사람도 순식간에 좀비로 변하게 되는데, 이는 인간의 취약성과 무력함을 보여줍니다. 좀비는 더 이상 특정 집단이나 계층의 문제가 아니라 보편적인 인간의 문제로 확장됩니다. 이를 통해 좀비 영화는 인간 본성의 어두운 면모를 드러내고, 우리가 언제든 좀비가 될 수 있다는 공포감을 불러일으킵니다. 또한 좀비는 기존 사회 질서와 가치관을 전복시키는 존재로 등장하는데, 이는 기존 체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보여줍니다. 결국 좀비는 누구나 될 수 있는 존재로서, 인간의 근본적인 취약성과 사회 체제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이끌어내는 상징적 존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