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 부경대학교 국제수산물류무역론 A+ 과제
본 내용은
"
2022 부경대학교 국제수산물류무역론 A+ 과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12
문서 내 토픽
-
1. 중국 어획어업 생산구조중국은 갈치, 태평양 멸치, 꽃게를 주로 어획하며, 태평양 처브 고등어, 젓새우 등도 어획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2. 중국 양식어업 생산구조중국은 켈프(해초의 일종), 초어, 굴 등을 양식어업으로 생산하고 있다.
-
3. 중국 수산물 수입구조중국은 에콰도르, 러시아, 캐나다 순으로 수산물(HS 03류) 수입을 많이 하고 있으며, 한국은 그 중 21번째로 중국에서 한국으로의 수출에 비해 수입을 적게 하고 있다.
-
4. 중국 수산물 수출구조중국은 일본, 한국, 홍콩, 미국 순으로 수산물(HS 03류) 수출을 많이 하고 있으며, 특히 일본과 한국으로의 수출이 많은 양을 차지한다.
-
1. 중국 어획어업 생산구조중국의 어획어업 생산구조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연안 및 근해 어업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주요 어종으로는 조기, 명태, 대구 등이 있습니다. 최근 들어 중국 정부는 과도한 어획량을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어업 자원 고갈 문제가 심각한 상황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어업 정책 수립, 어업 기술 혁신, 불법 어업 단속 강화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중국 양식어업 생산구조중국의 양식어업 생산구조는 매우 발달되어 있으며, 세계 최대 양식 생산국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주요 양식 품종으로는 어류, 갑각류, 연체동물 등이 있으며, 특히 새우, 틸라피아, 잉어 등의 생산량이 높습니다. 최근에는 고부가가치 품종 양식에 주력하고 있으며, 양식 기술 향상과 친환경 양식 방식 도입 등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양식장 오염, 질병 발생 등의 문제가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중국 수산물 수입구조중국의 수산물 수입구조는 점차 다양화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동남아시아 국가들로부터의 수입이 주를 이루었지만, 최근에는 미국, 캐나다, 러시아 등 다양한 국가로부터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주요 수입 품목으로는 연어, 새우, 참치 등이 있으며, 이는 중국 내 수요 증가와 국내 생산 부족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중국 정부의 수산물 수입 정책 변화와 국제 수산물 시장 동향에 따라 수입 구조가 지속적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4. 중국 수산물 수출구조중국의 수산물 수출구조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냉동 수산물, 통조림, 건조 수산물 등이 있으며, 주요 수출 대상국으로는 일본, 미국, 유럽 등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고부가가치 수산물 수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 정부의 수산물 수출 지원 정책과 기업들의 노력에 힘입은 바가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수산물 안전성, 환경 규제 등의 문제가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