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마음을 두(do)드럼(drum)
본 내용은
"
(영상제작입문) 나의 가족, 나의 이웃’을 소재로 한 창작드라마 또는 창작다큐멘터리 작품의 기획안 및 구성안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11
문서 내 토픽
  • 1. 가족 문제와 사회적 책임
    가족은 사회 문제의 발아가 될 수 있는 중요한 기제이다. 하지만 최근 가족과 관련된 사회적 문제가 다수 발생되고 있다. 이로 인해 전통적인 가족제도가 무너지고 핵가족화 현상이 빠르게 나타났으며, 결혼한 여성의 취업률(맞벌이 가정) 증가의 경향 등으로 가족 기능이 크게 약화되고 있다. 과거의 가족 체계는 그 안에서의 문제를 본인들의 힘으로만 극복코자 노력하는 양상이 짙었다. 하지만 사회가 복잡해지고, 그에 따른 가족 문제 또한 복잡한 양상을 갖게 되자 이제 가족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곧 사회 문제로 불거지게 되었다.
  • 2. 돌봄의 사회화와 국가의 역할
    돌봄이라는 것은 가진 자가 가지지 못한 자에게, 성숙한 자가 성숙하지 못한 자에게 베푸는 행위를 말한다. 부자가 가난한 사람에게 베푸는 것도 돌봄이며, 성숙한 어머니가 미숙한 아이를 케어 하는 것 또한 돌봄이다. 하지만 사회가 양분화 됨에 따라 현재 우리나라에서 돌봄과 관련된 문제가 심각한 사회적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그와 같은 문제는 우리 사회의 인구구조와 가족의 변화로 인해 날로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와 사회적인 돌봄 책임이 강조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지원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 3. 코로나19와 교육격차 심화
    코로나19라는 감염병은 교육격차 감소에 있어서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던 학교의 교육적인 기능을 작동하지 못하도록 강제했다. 온라인으로 가정에서 학교 수업을 듣게 되기 시작하면서 가정은 돌봄과 함께 학교 수업까지 지원하는 큰 부담을 안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가정이라는 배경이 코로나19 이전보다 학생의 학교 교육에 더욱 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또한 가정 배경에 따라서 기존에 발생했던 교육적인 차이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가족 문제와 사회적 책임
    가족 문제는 개인적인 문제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가족 구성원 간의 갈등, 가정폭력, 아동학대 등의 문제는 개인과 가족에게 큰 고통을 주며 사회적 비용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정부와 지역사회가 가족 문제에 개입하여 지원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족 구성원의 권리와 안전을 보장하고, 가족 간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상담과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취약계층 가족에 대한 경제적, 심리적 지원을 강화하여 가족 문제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건강한 가족 문화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 2. 돌봄의 사회화와 국가의 역할
    돌봄 노동의 사회화는 개인과 가족의 부담을 줄이고 돌봄의 질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 돌봄, 장애인 돌봄 등 다양한 돌봄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국가와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국가는 돌봄 서비스의 공급을 확대하고 돌봄 노동자의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 또한 가족 구성원의 돌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육아휴직, 가족돌봄휴가 등의 제도를 강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돌봄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개인과 가족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3. 코로나19와 교육격차 심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온라인 수업 확대는 교육 격차를 심화시키고 있다. 가정의 경제적 여건, 부모의 교육 지원 능력,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등에 따라 교육 기회와 성과에 큰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이는 교육 기회의 불평등을 초래하여 사회 이동성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디지털 기기와 인터넷 접근성 지원, 취약계층 학생에 대한 학습 지원, 교사 역량 강화 등 다각도의 정책을 통해 교육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 또한 온오프라인 병행 수업, 방과후 학습 지원 등 다양한 교육 방식을 모색하여 모든 학생이 균등한 교육 기회를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