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수술실 케이스 작성 [식도절제술 Esophagectomy]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수술실 케이스 작성 [식도절제술 Esophagectomy]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10
문서 내 토픽
  • 1. 식도의 생리
    식도(oesophagus)의 주요 생리적 기능은 연하작용(swallowing)과 식도 내 역류방지입니다. 연하작용은 인두에서 위까지 4~8초 내에 6단계 작용으로 액체성분의 97%를 내려가게 합니다. 식도 내 역류방지는 하부 식도괄약근에 의해 형성된 높은 압력부위가 위내용물의 식도 내 역류를 방지합니다.
  • 2. 식도의 해부
    식도의 길이는 약 24cm~33cm 정도이고, 너비는 2~3cm, 식도 벽의 두께는 약 4mm 정도로 속이 빈 근육성기관입니다. 식도는 바깥쪽에서부터 섬유조직층, 근육층, 점막밑층, 점막층으로 되어있습니다. 식도의 상부는 가로무늬근으로, 하부는 평활근으로 되어있어 각각 다른 기능을 합니다. 식도는 해부학적으로 경부식도, 흉부식도, 복부식도로 구분되며, 임상적으로는 경부식도와 흉부식도(상부, 중부, 하부)로 구분됩니다. 식도에는 네 곳의 협착부위가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식도의 생리
    식도는 구강에서 시작하여 위까지 이어지는 관으로, 음식물을 삼키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식도의 생리적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연하 반사를 통해 음식물을 위로 이동시킵니다. 둘째, 연동운동을 통해 음식물을 위로 밀어올립니다. 셋째, 하부식도괄약근을 통해 위 내용물의 역류를 방지합니다. 넷째, 점막 분비를 통해 음식물의 통과를 원활하게 합니다. 이러한 생리적 기능은 식도의 정상적인 작동을 위해 매우 중요하며, 이상이 있을 경우 연하 장애, 역류성 식도염 등의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2. 식도의 해부
    식도는 구강에서 시작하여 위까지 이어지는 관으로, 해부학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 식도는 목, 흉부, 복부의 3부분으로 구분됩니다. 둘째, 식도 벽은 점막층, 점막하층, 근층, 외막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셋째, 식도 내강은 타원형 모양을 가지며, 상부와 하부에 괄약근이 존재합니다. 넷째, 식도는 주변 장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이들 장기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식도의 해부학적 구조와 특징은 식도의 기능 수행과 관련 질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