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회계원리 A+ 과제, 1주 2강 회계의 기본개념을 학습하면서 회계감사와 의의로 감사의견의 종류에 대해 학습하였습니다.
본 내용은
"
2022년 회계원리 A+ 과제, 1주 2강 회계의 기본개념을 학습하면서 회계감사와 의의로 감사의견의 종류에 대해 학습하였습니다. 재무제표에 대한 회계감사가 필요한 이유 및 회계감사의견의 종류를 설명하고, 감사의견 중 의견거절 또는 부적정 의견이 제시된 사례를 찾아 1가지만 제시하세요.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09
문서 내 토픽
-
1. 회계감사의 정의 및 재무제표에 대한 회계감사의 필요성회계감사의 목적은 시대에 따라 변해왔다. 최근 들어 감사의 주요 목적은 정보이용자들의 경제적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회계감사란 재무제표가 기업회계기준대로 적정하게 작성되었는지를 해당 기업과 독립적인 관계에 있는 제3의 공인된 회계전문가가 검증함으로써 해당 재무제표에 신뢰성을 부여하는 과정이다. 한국의 경우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을 통해 외부감사 대상 기업들을 한정하였고 상장법인, 금융회사들이 주된 대상이다. 일반적으로 주권상장법인과 외부감사 대상 법인은 사업연도가 경과한 후 90일 내 사업보고서, 반기 경과 후 45일 이내 반기보고서, 분기 경과 후 45일 이내 분기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며 재무제표의 감사와 검토가 의무화되어 있다. 재무제표 감사는 기업의 일반적이고 통상적으로 인정되는 '회계원칙(K-IFRS)'을 적용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여 그에 대한 의견을 표명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해 감사인은 기업의 내부통제 구조를 면밀히 검토하여 감사의 범위를 규정하고,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검사의 기준에 따라서 회계감사를 실시하게 된다.
-
2. 회계감사의견 종류재무제표 감사인은 반드시 감사보고서를 작성하고, 감사의견 중 한 가지 의견을 표명해야 한다. 회계감사의견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적정의견(Unqualified Opinion) : 적정의견이란 재무제표가 기업회계기준이 정하는 바에 따라 적정하게 표시되었음을 의미한다. 2) 한정의견(Qualified Opinion) : 한정의견이란 어떤 특정 사실이나 특정 부분을 제외하고는 재무제표가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적정하게 표시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3) 부적정 의견(Adverse Opinion) : 부적정 의견이란 회계정보가 기업회계기준에 맞지 않는 사항이 매우 광범위하게 재무제표에 영향을 미치므로 재무제표 전체가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적정하게 표시되지 못함을 의미한다. 4) 의견거절(Disclaimer of Opinion) : 의견거절이란 감사인이 감사의견을 형성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증거를 수집하지 못하여 감사의견 표명을 거절하였음을 의한다.
-
3. 쌍용자동차 사례쌍용자동차 주식회사는 대한민국의 SUV 전문 자동차 기업이다. 2022년 8월 KG그룹이 인수하여 9월 KG쌍용모빌리티 주식회사로 사명 변경 계획을 발표하였는데 11월인 이번 달 초 사명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쌍용자동차의 지난 제59기, 제60기의 감사를 맡았던 '삼정회계법인'은 '계속기업가정의 불확실성'으로 의견 거절의 뜻을 표명했다. 올해 제61기의 3월 분기보고서와 6월 반기보고서의 감사를 맡은 '서현회계법인'에서도 같은 이유로 감사의견을 거절하였다. 이에 따라 쌍용자동차의 주식은 계속해서 거래 중지 상태에 놓여있다. 계속기업가정의 불확실성이란 기업이 사업을 계속 운영하는 것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한다는 뜻으로 상장 폐지될 가능성이 높은 기업들을 말한다.
-
1. 회계감사의 정의 및 재무제표에 대한 회계감사의 필요성회계감사는 기업의 재무제표가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회계원칙에 따라 작성되었는지를 독립적으로 검토하고 평가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재무제표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회계감사는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하며, 투자자와 채권자 등 이해관계자들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회계감사는 기업의 내부통제 시스템을 점검하고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회계감사는 기업의 건전한 발전과 투명한 경영을 위해 필수적인 절차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회계감사의견 종류회계감사의견에는 크게 네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첫째, 적정의견은 재무제표가 중요한 점에서 회계기준을 준수하여 작성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둘째, 한정의견은 재무제표가 중요한 점에서 회계기준을 준수하지 않았지만, 그 영향이 재무제표 전체에 광범위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셋째, 부적정의견은 재무제표가 중요한 점에서 회계기준을 준수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넷째, 의견거절은 감사인이 충분하고 적합한 감사증거를 얻지 못해 의견을 표명할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감사의견은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에 대한 신뢰성을 제공하며, 투자자와 채권자 등 이해관계자들의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3. 쌍용자동차 사례쌍용자동차 사례는 회계감사의 중요성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쌍용자동차는 2009년 회계감사 과정에서 부적정 의견을 받았습니다. 이는 회사의 재무제표가 중요한 점에서 회계기준을 준수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이후 쌍용자동차는 경영위기에 직면하게 되었고, 결국 법정관리 절차를 거치게 되었습니다. 이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회계감사는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확인하고 투명성을 제고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업은 회계감사 결과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개선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