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 지식재산학 지식재산개론 과제
본 내용은
"
특허청 지식재산학 지식재산개론 과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10
문서 내 토픽
  • 1. 공지예외주장
    특허법 제30조에 따르면 발명이 출원 전에 공지되었더라도 일정 요건을 갖춘 경우 특허법 제29조제1항과 같은 조 제2항의 신규성이나 진보성에 관한 규정 적용시 선행기술로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규정하고 있다. 공지예외주장을 위한 요건은 권리자가 자신의 의사로 발명을 출원 전에 공개한 경우와 권리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발명이 공지된 경우로 나뉜다.
  • 2. 해외에서의 공지예외주장 인정 요건
    국가별로 공지예외주장 인정 요건이 다르다. 미국은 공지 형태의 제약이 없으며 12개월 이내 출원하면 인정된다. 일본은 논문 공개나 발명자의 의지에 반한 공지만 인정되며 2018년 6월부터 공지된 날부터 12개월 이내 출원이 가능하다. 중국은 중국 정부가 승인한 전람회나 학술회에서의 공지만 인정되며 출원일로부터 6개월 이내 출원해야 한다. 유럽은 발명자의 의지에 반한 공지나 공식 국제 전시회에서의 공지만 인정되며 출원일로부터 6개월 이내 출원해야 한다.
  • 3. A 회사의 특허권 설정등록 가능성
    A 회사가 권리자라면 국내에서는 공지예외주장을 통해 특허권을 설정등록받을 수 있다. 다만 해외에서는 국가별로 다르다. 미국은 공지 형태의 제약이 없어 공지예외주장이 가능하지만, 일본, 중국, 유럽은 공지 형태의 제약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특허권을 설정등록받을 수 없다. 다만 발명자의 의사에 반한 경우라면 일본과 유럽에서도 특허권을 설정등록받을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공지예외주장
    공지예외주장은 특허법상 인정되는 제도로,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공개한 후 일정 기간 내에 특허출원을 하면 그 공개를 공지로 보지 않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발명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기술 발전을 장려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다만 공지예외주장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이에 대한 판단은 개별 사안마다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지예외주장을 하고자 하는 경우 관련 법규와 판례를 면밀히 검토하고, 필요시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 2. 해외에서의 공지예외주장 인정 요건
    해외에서의 공지예외주장 인정 요건은 국내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공지예외주장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발명의 공개가 발명자의 의사에 의한 것이어야 하고, 공개 후 일정 기간 내에 특허출원을 해야 합니다. 그러나 국가마다 공지예외주장에 대한 규정이 다르기 때문에, 해외에서 공지예외주장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해당 국가의 관련 법규와 실무 관행을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공지예외주장 인정 여부는 개별 사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3. A 회사의 특허권 설정등록 가능성
    A 회사의 특허권 설정등록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해당 발명이 특허 요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검토해야 합니다. 특허 요건에는 신규성, 진보성, 산업상 이용가능성 등이 포함됩니다. A 회사가 특허출원을 하였다면, 특허청의 심사 과정에서 이러한 요건들이 검토될 것입니다. 만약 특허청이 특허 요건을 충족한다고 판단하면 특허권이 설정등록될 것입니다. 그러나 특허 요건 충족 여부는 개별 사안마다 달라질 수 있으므로, A 회사의 특허권 설정등록 가능성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해당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과 선행기술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 같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