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가의 정명사상과 대국가적 저항권
본 내용은
"
성균관대 동양사상입문 중간대체 리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06
문서 내 토픽
-
1. 유가의 정명사상공자는 사회가 어지럽고 혼란한 이유를 名과 그에 따른 實이 부합하지 않는 데서 찾으며, 정치는 곧 名을 바로잡는 것이라 하였는데, 이것이 유가의 '정명'사상이다. 여기서 말하는 名은 다시 마땅히 행해야 할 '직분'으로 풀이될 수 있다. 즉 군주는 군주라는 직분에 걸맞게 행동할 직분상의 책무가 있는 것이다.
-
2. 국민의 대국가적 저항권유가의 정명론은 名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하는데, 이는 다시 사회의 개별 구성원은 각자에게 부여된 직분을 응당 실현해야 할 의무가 있는 것으로 풀이될 수 있다. 즉 名은 각자가 마땅히 따라야 할 일종의 행위규범이자 의무로 볼 수 있는 것이다. 국가가 직분상 권한을 넘어서 독선적으로 국민에 대해 의무를 강요하는 경우에는 국민이 국가에 대하여 적법하게 '저항'할 '名分', 즉 저항권을 취득할 여지가 발생한다.
-
1. 유가의 정명사상유가의 정명사상은 사회 질서와 안정을 위해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정명사상은 각자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하여 사회 구성원들 간의 조화와 균형을 이루고자 하는 것입니다. 군주와 신하, 부모와 자식, 남편과 아내 등 각자의 지위와 역할을 명확히 하고 이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사회 전체의 안정과 발전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정명사상이 지나치게 경직되어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시대와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입니다.
-
2. 국민의 대국가적 저항권국민의 대국가적 저항권은 국가 권력이 국민의 기본적 인권과 자유를 심각하게 침해할 때 국민이 저항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합니다. 이는 국민주권주의와 민주주의 원리에 기반한 것으로, 국가 권력이 국민의 의사와 이익을 무시하고 전횡을 자행할 때 국민이 이에 저항할 수 있는 정당한 권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권리는 매우 예외적이고 극단적인 상황에서만 행사될 수 있으며, 남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국민의 대국가적 저항권은 국가와 국민 간의 균형을 유지하고 국가 권력의 남용을 방지하는 중요한 장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제자백가 9페이지
목차1. 제자백가의 출현과 특징2. 제자백가의 종류 및 대표인물1. 유가儒家 - 공자孔子, 맹자孟子, 순자荀子2. 도가道家 - 노자老子, 장자莊子3. 묵가墨家 - 묵자墨子4. 법가法家 - 한비자韓非子5. 음양가陰陽家 - 추연鄒衍6. 명가名家 - 혜시惠施, 공손룡公孫龍7. 종횡가縱橫家 - 소진蘇秦 장의張儀8. 잡가雜家 - 여불위呂不韋9. 농가農家 - 허행許行10. 소설가小說家1. 제자백가의 출현과 특징제자諸子란 여러 학자들을 의미하고 백가百家란 수많은 학파를 의미하는 것으로 제자백가諸子百家란 춘추전국春秋戰國시대에 활동한 수많은 학자와...2010.09.12· 9페이지 -
[교육철학 및 교육사] 유학중심의 교육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10페이지
目 次Ⅰ. 서론2Ⅱ. 본론21. 유교의 본질과 공자2(1) 유교(儒敎)·유가(儒家)·유학(儒學)이란 무엇인가2(2) 유교의 성립과 공자의 사상3가. 공자의 철학사상3나. 공자의 정치사상32. 유교의 한반도 수용과 전개4(1)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유교4(2) 조선시대의 유교53. 한국유교의 특성5(1) 예론과 충효론5(2) 의리론과 선비론64. 유교의 한계와 극복방안6Ⅲ. 결론7參考文獻9Ⅰ. 서론우리는 지금 이 시대에도 알게 모르게 특정한 유교적 사회윤리(社會倫理)와 가치관(價値觀)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 증거로서 우리는 무의식...2002.06.14· 10페이지